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d라이브러리
"
각
"(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1000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간단백질 지도사업은 국제 협력 없이 불가능하다고 생
각
한 백 교수가 앞장서 세계 프로테오믹스 분야 연구팀을 한데 모은 것이다.백 교수는 “앞으로 연세프로테옴연구원이 인간단백질지도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끌 것”이라며 “인간 노화 현상을 밝히기 위해 다우몬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1000조 분의 1초인 원자시계가 있어 신호가 도착한 시
각
을 기록한다. 이 시
각
을 바탕으로
각
전파망원경이 받은 신호를 한 군데 모아서 동시에 재생하면 선명하고 해상도가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세계 최초 네 주파수 동시 관측지름이 500km가 채 안 되는 KVN은 8000km가 넘는 미국이나 2200km인 일본의 . ...
금성과 달의 모양 변화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선조들이 새벽 금성과 저녁 금성을 다른 이름으로 부른 것은 둘을 다른 행성으로 생
각
했기 때문이다.우리 삶과 밀접한 달뉴문, 이클립스. 이 단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한 영화의 제목이자, ‘달(Moon)’과 관련된 단어라는 점이다. 전자는 바로 초승달을 의미하며 후자는 ... ...
'수학 밖에서 수학 보기'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정리’, 미국 PBS의 ‘수학에 의존한 삶(Life by the Numbers)’, 일본 NHK의 ‘리만가설’ 등
각
국의 수학 다큐멘터리를 보여주며 수학 대중화의 효율적 수단으로서 수학다큐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박형주 교수와 함께 아프리카에서 수학 다큐 ‘생명의 디자인’을 찍기도 한 그는 2011년 ‘문명과 ... ...
수학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그래서 연필 앞쪽의 경사진 부분의 길이는 2c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연필 앞부분의
각
도도 13°~20° 사이가 적당하다. 심 끝의 굵기는 0.6mm를 넘지 않도록 뾰족하게 깎아내야 한다. 그렇다고 연필심이 완전한 원뿔이 되면 안 된다. 끝이 바늘 끝처럼 뾰족하면 부스러지기 쉽기 때문이다. 결국 ... ...
하메드의 정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상자를 내민다.“하하하. 아이고 배야. MONEY라더니. 거울이었어. 퍼즐만 보고 마음대로 생
각
하더니…. 하하하.”“꼬마손님께서 이제야 화가 풀린 듯하군. 너무 크게 웃지는 말고 이거나 마저 보렴.”상자 안에는 거울과 함께 퍼즐이 들어 있다.“직선에 놓인 숫자들의 합이 모두 같도록 1부터 1 ... ...
PART 3-1. 도전! 나만의 시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만든다. 그림과 같이 삼
각
형 FOE를 그리고 11시와 12시 간격과 같은 가로길이를 갖는 직사
각
형을 옆에 그려준다. 그노몬을 수직으로 세우기 위해 필요하다. 다 그린 그노몬을 가위로 오려 접은 뒤 접착제를 이용해 붙여준다. 해시계 완성!Tip 우리도 해시계를 사용할 수 있을까?스스로 만든 해시계를 ... ...
표현하고 체험하며 배우는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능력 문제는 17점으로 비중이 크다. 하지만 커뮤니케이션과 생
각
표현력 문제의 점수도
각각
7점과 3점으로 무시할 수 없다.특히 커뮤니케이션 영역의 문제에서는 수학적인 표현을 정확하게 쓰지 않으면 점수가 깎인다. 다른 영역의 문제를 풀 때는 수학적 표현이 틀리더라도 점수를 잃지 않는다. ... ...
영재교육원 입시 어떻게 달라졌나?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파악하거나 상황을 주고 어떤 주제를 설정하며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식으로 많은 생
각
과 창의성을 요구하는 문제가 증가했다는 평가다.영재교육에 도전하는 학생들은 개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혼자서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능력을 끌어내는 학생들이 있는 반면, 학원의 도움을 선택한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데에는 마법 같은 과학이 숨어 있었던 셈이다.종이접기가 새로운 친환경 운송수단으로
각
광받는 날이 올까. 윤혜정 서울대 환경재료과학과 교수는 “종이접기가 특별한 힘을 발휘하는 이유는 종이가 유연해서 접기가 쉽고, 접힌 구조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는데다 의외로 단단하기 때문”이라는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