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블랙홀의 정체를 밝혀라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생각한다.다가오는 21세기에는 우리나라에도 우주
천문
학 분야가 매우 활기를 띨 것으로
천문
대에서는 예측하고 있으며, 수년 전부터 X선 검출기 제작 기술 축적과 X선원 연구를 병행해 진행해오고 있다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우리지방에서는 지평선에 짤려 별자리의 전체 모습을 볼 수는 없다. 이 달에 이 별자리는
천문
박명 시간(어두워져서 별 관측이 가능해지는 시간)이 시작되면 거의 남중한 위치에 있고 고도도 적당하기 때문에 관측이 용이할 것이다.■M46파인더의 중앙에 시리우스를 맞추고 동쪽 방향(적도의 ... ...
X선
천문
위성 아스트로-D 발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아스트로-D의 관측대상은 0.5-10keV의 X선 영역. 로샛과 같은 X선
천문
위성은 3keV 이하의 X선밖에 관측하지 못했다. 이번에 특히 주목을 받고 있는 부분은 철 원자가 방출하는 약 7천keV 영역의 휘선. 이는 1천만~1억도의 초고온 천체가 방출하는 복사선으로, 이를 고분해능의 ... ...
소행성, 지구와 충돌 가능성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등록이 안된 것이 1백64개다.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아폴로형 소행성이다.
천문
학자들은 '과학과 미래'의 보도 이후 토타치스의 궤도를 정밀 계산해본 결과 약 3백60만km까지 접근하나 지구와 정면 충돌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토타치스말고도 최근에 지구에 접근한 소행성을 ... ...
① 빛은 우주의 비밀 캐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gravitational wave)나 중성미자(neutrino) 등을 이용한 우주 관측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천문
학은 다음 세기에 어떻게 변모할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할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 ... ...
⑤ 한국
천문
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1995년부터 보현산
천문
대의 1.8m 망원경이 가동되기 시작하면 우리나라
천문
학은 새로운 도약이 이루어질 것이다.소백산
천문
대의 직경 60cm ... 활성화로 인하여 선조들의 찬란했던
천문
학 역사에 부끄럼이 없도록 우리
천문
대가 떳떳한 독립기관으로 자리잡을 날이 조만간 오기를 기대해본다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천체망원경은 가전제품들과는 달리 조립만 했다고 바로 사용할 수 없다. 무게균형 잡기, 파인더 시준, 극축과 광축맞추기 등 여러가지를 조정해야 한다.천체망원경을 구입해 집으로 가지고 와서 처음 포장상자를 풀어보면 여러가지 종류의 부속품들이 많이 들어있다. 같이 들어있는 천체망원경 조 ... ...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찾아야 관측이 가능하다. 물론 해진 후 바로 하늘에 보이는 별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천문
대가 아니고서는 좌표만 갖고 수성을 찾을 수 없다.다행히 이달은 금성이 서쪽하늘에서 -5등급 정도로 아주 밝게 빛나고 있어 해 진 후 30분 정도가 지나면 누구나 쉽게 금성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 ...
아마추어
천문
가가 NASA의 오류를 지적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미항공우주국(NASA)이 발표한 남극의 오존구멍에 관한 자료에 오류가 있다고 한 아마추어
천문
가가 지적하고 나서 화제가 되고 있다. 더욱이 NASA의 ... 아무튼 이 사건으로 거대한 기구와 인원, 그리고 현대적인 장비를 갖춘 NASA가 한 아마추어
천문
가에게 톡톡히 망신을 당한 셈이 됐다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지금 현재 우리의 우주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오늘날의 입자 물리학과
천문
학의 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아주 오래 전 지금의 태양보다 수십억배나 더 뜨겁고 굉장히 밀도가 높은 하나의 불덩이로 부터 긴 변화의 과정을 겪어서 현재에 다다른 것이다. 이 변화의 과정을 사색하려 할 때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