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빠져들어 일상생활의 변화상을 망각함으로써 한동안 안심할 수 있도록 만들기도 한다.
천문
학이나 우주학이 바로 그런 경우인데 그러나 가끔은 이 학문들이 우리 인류로부터 너무 벗어난 것처럼 보여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기도 한다. 필자의 남편인 아이작 아시모프 박사는 언젠가 흐느끼는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
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가 주최하는 별밤 행사에서 밤하늘 정서의 폭을 대폭 늘려주기도 한다. 한국아마추어
천문
학회 주최의 중학생 과학캠프에도 전회원이 열성적으로 참여해 천체의 운행원리를 자세히 설명하기도 한다.밤에 주로 활동하고 무거운 장비를 들고 다녀야 하는지라 '많이 먹는 동아리' '억센서클'로 알려져 ... ...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우린 태양바람에 관해 가능한한 많이 알아야 한다. 태양표면에너지프로그램(STEP)은 많은
천문
대와 인공위성들과 컴퓨터 모의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들을 조정하는 7년짜리 연구과제다. 태양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것도 다르며 지구와 접촉 하면서 전달해오는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것은 19세기 말 이었다. 또 과학학술원의 경우 여성의 진출을 오랫동안 금기시해 왔다.
천문
학자인 마리아 윙클맨, 수학자인 소피 게르메인은 물론이고 그 유명한 마리 퀴리의 회원가입도 불허했을 정도.그러나 19세기 말부터 미국과 유럽에서는 여성차별의 안개가 걷히기 시작했다. 그 상징적인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것은 1604년 케플러(Kepler)에 의해서였으므로 이 초신성은 무려 약 4백년 뒤에나 일어난
천문
학계의 경사였던 것이다. 하지만 이 초신성은 우리 나라에서는 볼 수 없어 아쉬움을 남겼다. 검은 구멍/모든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질량이 태양질량(M⊙)보다 30배 이상 큰 별들은 결국 검은구멍(black hole)을 ... ...
핵 폐기물 경고용 '스톤헨지' 건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보내는 메시지를 담고 떠난다. 이 메시지를 작성하는 캘리포니아 대학(산타 크루즈 분교)
천문
학자 프랭크 드레이크는 "되도록 여러가지 방법으로 메시지를 전해야 한다. 그래야 그중 하나가 미래인들에게 바로 해석될 것이다"라고 말한다. 아무튼 핵폐기물처리장 주변에 세워질 스톤헨지에는 '위험'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천문
학의 아버지로 부르고 있는 덴마크의 티코 브라에(Tycho Brahe, 1546~1601)는 가장 위대한
천문
학자 중의 한 분이다.그는 굉장한 천재였을 뿐 아니라 대단한 노력가였다. 티코 브라에는 14살에 일식을 보고 감동한 후로 하루에 2시간만 잠을 자며 소년시절의 대부분을 별을 관측하는 데 보냈다고 한다. 1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빅뱅이 승리하기까지펜지아스와 윌슨의 작업은 전파
천문
학에서 시작됐다. 그들의 작업에 필요한 고감도 설비를 장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마이크로파 잡음을 없애야 했는데 몇번의 실패를 거친후, 1965년에 펜지아스는 이 문제를 피블스가 해결할 수 있다는 소식을 ... ...
각양각색인 별들의 진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높은 온도, 높은 밀도를 갖게 되어 상황이 달라진다. 이 부분은 실제로 중고등학교
천문
학에 나오지 않는 어려운 부분이지만 별의 종말을 논하는데 필수적인 내용이므로 부득이 다룰 수밖에 없음을 밝혀둔다.전자는 다른 입자들보다 질량이 작아서 가장 활발히 운동하여 별 중심의 물리학을 ... ...
블랙 홀 탱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무대나 많은 별들과 춤추는 엄청난 은하계의 핵 세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든 간에
천문
학자들이나 천체물리학자들은 진실을 찾아내고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이 칼럼에선 간간히 블랙홀에 관한 새로운 정보나 이론을 논하게 될 것이다. 필자와 블랙홀을 논하는 탱고를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