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청동기인의「돌달력」 스톤헨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건물을 꼭 완성해야 할 중대한 이유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스톤헨지의 여름축제
천문
(天文)을 이해하는 것은 계절을 아는 것이며 계절을 알아야 농업이나 목축같은 경제생활을 잘 할 수 있는 법이다. 더 나은 경제생활을 지향하는 것은 세상 어떤 것보다 사람에게 중요한 일이다. 그래서 그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상으로 천체의 운동과 중력에 관한 기술을 마치고 다음 호부터는 별의 진화같은 현대
천문
학 과정에 관하여 공부해 보기로 한다. 익힘문제 해답(1)식 (14)에서 만일 우리가 ${M}_{1}$=16, ${M}_{2}$=0으로 놓고 P의 단위로 년, a의 단위로 AU를 사용하면 16${P}^{2}$=${a}^{3}$이 된다. a=1이므로 P=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
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대한 투자가 극히 적다는 것은 틀린 애기가 아닐 것이다. 현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산하
천문
대에 14m 전파망원경이 있고 1.8m 광학망원경이 건설중이며, 대학에서 보유하는 40~60cm 크기의 망원경이 우리나라에 있는 관측 장비의 전부다. 우주시대를 맞이하여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을 포함해 ... ...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4만5천W의 전력을 내게 되므로 그 주변이 엄청나게 뜨거워지는 탓이다.1974년 미국의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은 ET에게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이 거대한 '확성기'를 사용한 바 있다. 이제 겨우 18년이 흘렀다 ... ...
지구가 끄는 힘, 중력의 의미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된다.중력은 중력 가속도에 의해서 기술된다. 이제 완전히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천문
학으로 돌아와 중력가속도에 관해 학습해 보자. 이 분야는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물리학과 완전히 일치한다. 속도와 가속도먼저 물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가장 기본적인 용어의 하나인 속도부터 살펴보기로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정체와 초기 우주에서 생성된 물질의 불균일성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천문
학자들은 관측을 통해 또 이론을 통해 은하의 형성 시기와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이러한 문제들이 풀려져 나갈 때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해답이 주어지고, 인간의 우주에 대한 과학적 철학적 인식이 ... ...
신혜성 「슈메이커─레비」 곧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좋은 조건에서 자신의 모습을 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1991년 10월6일 미국 팔로마산
천문
대의 46cm 슈미트카메라로 찍은 필름에서 슈메이커와 레비는 희미한 혜성상을 발견했다. 곧이어 신혜성임이 밝혀졌고 표준등급이 7.5 등급으로 계산됐다(발견 당시의 등급은 약 16등급). 표준등급이란 혜성이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천문
학과)가 우리말로 옮겼는데, 옮긴이 자신도 수식을 쓰지 않고 이렇게 쉽고 재미있게
천문
학 이론을 설명한 것에 놀랐으며, 아시모프에게 많은 것을 배웠다고 후기에 토로한 바 있다. 뒤늦게나마 아시모프의 저작들이 활발하게 우리나라에 소개되고 있는 중에 갑작스런 그의 서거 소식은 큰 ... ...
멀리있는 실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필름을 이용하면 우주는 갑자기 그 아름다움을 자태뿐 아니라 색깔로 나타낸다. 물론
천문
학자들은 필름으로부터 얻은 그 천연색 영상이 과연 '현실'인지 잘 몰라 저 멀리로 직접 방문해 자신들의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왜 그 많은 성운들이 모두 꼭같이 어두운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쉬운 것은 아니다).이제 천체의 시운동을 총정리하는 의미에서 다음과 같은 예문에서
천문
학적으로 틀린 곳 다섯군데를 모두 찾아내 보자.…자정이 막 지난 초여름밤, 창백한 초승달 바로 옆에는 금성이 찬란히 빛나고 있었다. 오리온 자리에 빛나는 저 밝고 붉은 별은목성이리라….첫째 초승달이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