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곳에 원추성운(the Cone Nebula, NGC 2264)이 있다. 장미 성운과 마찬가지로 원추성운도 단지
천문
대 사진에 의해서만 그 장관을 볼 수 있다. 원추 성운까지의 거리도 2천5백광년정도이나 그 크기는 보름달 정도로 장미 성운에 비해서 작다. 커다란 성운의 일부인 원추 성운은 사진 속에서 가스로 이루어진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티끌이 모여 생긴 것이라는 주장을 했고 이 논문으로 그는 상을 탔으며 이것은 그 뒤에
천문
관측으로 확인이 된다. 한편 기체를 이루는 티끌의 충돌로 열과 온도와 압력의 관계를 설명하는 업적을 남기기도 한다.이렇듯이 수학에 남다른 재주를 지닌 맥스웰은 마침내 전기와 자기를 하나로 묶는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껍질모양의 구조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1990년대에 들어 미국 프린스턴대학의
천문
학자 바네스 헌퀴스트 시바이저 등은 그들이 만든 새로운 모델을 활용, 상호작용을 하는 두 은하들은 결국 서로 융합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아울러 이들은 편평한 은하들이 상호충돌을 ... ...
미국 과학자 대다수 SSC에 반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정부고관을 포함한 일반인들은 오감으로 감지되는 것만 과학으로 인정한다. 전파
천문
학 입자물리학 등은 과학이 아니라 정확히 말해 '사색적 과학'이라 불려져야 한다는 것이다.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펜지아스벨연구소부소장은 대형가속기를 비판한 논문 중에서 "입자물리학은 이제 인간의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사실을 다시 한 번 머리속에 새겨야 한다.지평선과 천정천구를 이해하려면 우선 몇가지
천문
학 용어를 반드시 익혀야 한다. 먼저 지평선과 천정에 관해 알아보자. 천구가 땅과 만난 선을 우리는 지평선이라고 부른다. 물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지평선과 똑같은 것이다. 천구상에서 관측자의 ... ...
타이탄의 대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타이탄이 더 따뜻했었는지는 모를 일이다. 그러나 아직은 미지수이기 때문에 이 문제는
천문
학자들이 해명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한편 레이더로 밝혀진 최근의 연구자료는 타이탄이 공전함에 따라 반사되는 빛이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현상에 대한 가장 좋은 설명은 타이탄의 일부는 ... ...
무등
천문
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전라남도 지방의
천문
인들이 모여 '별사랑'을 키우면서 어린 싹들을 발굴, '밤하늘의 정서'를 보급하고 있다.'별보는 일'에 관한 한 불모지나 다름 없었던 전라남도 ... 아직 그런
천문
대가 없다. 무등산
천문
대가 설립된다면 개방
천문
대로 키워보겠다는 것이 남도
천문
연구회원들의 꿈이다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밤하늘 별을 보며 아름다움을 느껴보지 못한 사람은 거의 없으리라. 또한 학창시절 사랑의 감정을 별을 통해 전해 보지 않은 사람 또한 거의 없으리라. 우리네들 삶이 젊은 시절 그렇게 메마르지 않았다는 증거이리라. 그러나 나이를 먹게 되면서 어느 순간,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을 단지 ... ...
내일의 우주인 꿈키워주는 일본 「스페이스 캠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미래지향을 읽을 수 있게 한다.테마공원의 일관성 돋보여스페이스월드는 말하자면
천문
학과 우주산업을 주제로해서 꾸며진 위락시설이다. 그러나 이곳을 단순히 가족단위의 유흥지로만 생각할 수는 없다. 스페이스월드의 홍보담당자들은 조어(造語)를 잘 만드는 일본인 특유의 재치를 발휘해 이런 ... ...
우주수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만하다. 그러나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별로 없다"는 것이다.그렇다면 이 우주수프에 관해
천문
학자들이 보다 잘 알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한가지 방법은 현재의 우주로부터(현재의 우주에 관해서라면 상당한 지식을 갖고 있으니까) 출발하여 거꾸로 되돌아가 온도가 올라갈때마다 무슨 일이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