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암물질의 비밀규명 박차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소행성 또 작은 블랙홀이라면 추정이 아닌 설명이 가능해야한다. 바야흐로 미국의
천문
학자들이 이 암물질 규명에 도전하고 있다.연구자들이 붙잡고 있는 단서는 하나. 이 암물질들이 탐사위성이 추적하고 있는 우주공간의 감마선을 굴절시킨다는 것이다. 작년에 NASA(미항공우주국)의 컴프텀 감마선 ... ...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며칠 정도의 시간0| 걸리며, 극대점을 지나서면 그 숫자는 다시 작아진다. 아마추어
천문
가들은 유성의 밝기와 시간당 떨어지는 숫자를 세는 것으로 유성우의 진행을 관찰한다.1년 중 볼 수 있는 주요 유성우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시간당 볼 수 있는 유성의 숫자는 하늘이 아주 ... ...
역사상 가장 불행한 수학자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서지 않았다는 것 외에는 특별히 불행했다고 볼만한 사실은 없다. 오히려 괴팅겐의
천문
대장으로 생애의 대부분을 보냈는데, 연구에만 몰두한 행복한 삶이었다고 할 수 있다. 사망한 뒤에도 가우스는 '수학자 중의 왕자'로 불리게 된다. 20세기 초의 수학자인 클라인은 '가우스에 견줄만한 과학상의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corona)를 관측할 수 있다. 개기일식이 예고된 지방에는 세계 각지에서
천문
학자 아마추어
천문
학자 관광객들이 모여 들어 이 희귀한 현상을 연구하거나 영원히 간직하기 위해 관측장비와 촬영장비를 갖추고 기다린다. (사진2)는 개기일식 장면이다.달은 지구의 자전 방향(서→동)과 같은 방향으로 약 2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안드로메다은하보다 12배 이상이나 먼 거리에 놓여 있다. 이 은하는 1871년 프랑스의
천문
학자 메체인(P. Mechain, 1744~1804)에 의해 발견됐으며 1784년 메시에에 의해 그의 목록에 추가되었다.M104는 옆면으로 보이는 은하의 가장 멋진 예이며, 나선 은하와 타원 은하의 중간 형태로 여겨지고 있다. 이 은하의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배운 별사랑이 커가고 있지만 아직 적극적으로 권하지는 않는다는 이씨는 개인
천문
대를 세워 뭘 할 것이냐는 질문에 "별 보지요"라고 짤막하게 대답하고 만다. 한참 후에서야 "능력이 있다면 우리나라에서 관측이 가능한 모든 성운 성단을 직접 찍어 기록으로 남기고 싶다"고 조심스럽게 덧붙였다 ... ...
렌즈지름 10m벽 돌파하는 세계 최대 망원경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40여년 동안 지름 5m대에 머물렀던 광학망원경은 이제 막 10m의 기록을 돌파하려 하고 있다.인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시간과 기후 및 위치의 ... 10m망원경이 준비중이다. 이때는 첫번째의 것을 개량한 것이 될 것이므로 1호기와 더불어
천문
학을 비약시키는 주인공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
지구 최초의 생명 우주서 왔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내놓은 사람은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미국 코넬대학의
천문
학자 칼 세이건과 그의 동료 크리스토퍼 치바. 이들은 영국의 저명과학지 '네이처' 1월호에 기고한 논문에서 우주로부터 날아온 아주 작은 먼지입자들이 한해에 약 6만t 정도 지구 위에 이슬비처럼 내렸을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있었을 것이다. 프레세페가 성단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은 바로 이탈리아의
천문
학자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1642)다. 그는 자신이 발명한 작은 망원경으로 이것이 성단임을 발견했는데 그 당시 그의 저서에는 이 발견이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프레세페라고 불리는 성운은 하나의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그림7)과 같이 이동한다. '북극에서 떠오르는 별' '북극으로 지는 태양'과 같은 표현은
천문
학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이다.남극 지방의 관측자에 대해서도 천체들이 뜨거나 지지 않는다는 사실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별들은 이 경우 천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림8)에는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