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뛰어난 ‘사시’ 사냥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빨아들인다. 움직이는 것을 싫어해 까닥거릴 뿐이지만 먹이를 잡는 순간은 수백 분의 1
초
가 걸릴 만큼 빠르다. 해마는 몸이 거의 뼈로 이뤄져 있고 근육이 거의 없어 포식 동물에게 잡아먹힐 위험도 많지 않다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부분이 많습니다. 워낙 오랫동안 환경단체와 법원을 드나들다 보니(웃음)….”모든 것을
초
탈했다는 듯이 웃는 그를 보면서 환경단체든 정부든 어느 한쪽도 마음이 편한 쪽은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이왕 튼튼하게 지었으니, 경제를 발전시키는 역할은 제대로 하면서 환경피해는 발생하지 않도록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동기화 연구를 정하고 135명을 대상으로 상세한 기록을 시작한다. 9월 말에서 이듬해 4월
초
까지 행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맥클린톡이 짐작했던 대로 여학생들 사이에서 월경 동조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학기가 시작돼 서로 만난 지 얼마 안 된 10월에 두 사람이 월경을 시작하는 시기의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소장은 “지난해 말 PGP로부터 PGP 9번을 해독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며 “컨퍼런스에
초
대된 13명 가운데 2명(김성진 교수, 길 부사장)의 게놈분석을 우리나라가 맡았다”고 말했다. 미국 케임브리지=강석기 기자 sukki@donga.com 개인게놈프로젝트 이끄는 하버드대 조지 처치 교수 얼굴 반을 덮은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기
초
과학자들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우리 시대의 진정한 실사구시(實事求是)는 기
초
과학에 대한 투자”라고 강조했다. 박 단장은 마지막으로 “전사자 유해를 가족 품으로 돌려보내는 일은 과거로 돌아가는 활동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일”이라며 “다시는 6·25 같은 동족상잔의 비극이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광결정에 빛을 발생시키고 증폭시키는 실험에 성공해 1μm의 ‘
초
미니 레이저’를 세계 최
초
로 만들었다.그런데 최근 공명기의 크기가 레이저광의 파장보다 작아질 수 없다는 고전적 진리(?)가 깨졌다. 스위스 연방공과대 연구팀이 길이가 30μm, 높이가 8μm인 마이크로 크기의 레이저(공명기)에서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한다. 국립공원 입구에서 고속도로까지의 거리가 50km 정도밖에 안 되지만, 1980년대
초
까지도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을 정도로 오지다. 이 지역은 3억 6000만 년 전만 해도 바닷가였다. 바닷물이 들어차 모래와 자갈의 퇴적물이 쌓이고 사암과 역암 층이 형성돼 지금의 모습을 갖췄다. 벙글벙글의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부분은 1차 발사에서 제대로 작동했다”고 밝힌 바 있다.하지만 당시 나로호는 발사 216
초
(3분 36
초
)만에 페어링이 정상 분리되지 않아 그 뒤부터 비정상적인 비행을 했기 때문에 상단로켓이 이후 작동과정이 제대로 이뤄졌다고 확신할 수 없다는 게 일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나로호 발사가 실패할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만능 풍토에 경종을 제시한다.또한 김우재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연구원은
초
파리 연구에서 시작된 현대 유전학과 진화생물학의 탄생 과정을 짚어낸다. 특히 현대물리학에 문외한인 직장인에게 난해한 아인슈타인 방정식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이종필 연구원의 ‘샐러리맨 전 ... ...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대한 비밀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거예요.세계적으로 공룡에 대한 연구는 1800년대
초
부터 시작됐어요. 하지만 한반도 공룡에 대한 연구는 1972년 경상남도 하동에서 공룡알 화석이 발견된 것이 시작으로 그리 오래되지 않았어요. 아직도 남해안 곳곳에는 많은 공룡 화석이 ‘어린이과학동아’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