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빠진 송버터 씨는 미국 뉴스를 듣다가 깜짝 놀랐다. 에스키모인이 사는 북극 지역의 5월
초
온도가 35도를 넘었다는 것이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고온 현상이 나타났다고 한다. 아무리 온난화가 심각하다지만 북극이 35도를 넘다니! 버터 씨의 영어 실력이 부족한 건 아닐까? 아니면 미국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10대에 친구 맺기 사이트를 잘 활용하던 아이들은 20대
초
반에도 나이와 성별, 또는 부모의 경제적인 배경과 상관없이 우정을 잘 이어나가고 좋은 친구를 많이 사귀는 것으로 나타났다.아이들은 온라인에서의 친구 맺기를 오프라인에서만큼 가깝게 느끼고 이것을 활용해 더 ... ...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사이를 거닐며 미로를 체험할 수 있는 곳을 알려드릴게요. 수학동아를 보고 빨, 주, 노,
초
색색으로 물든나무와 꽃 그리고 미로를 만나러 떠나 보세요. 가족, 친구와 함께 누가 먼저 미로를 탈출하는지 게임하면 미로의 재미를 배로 만끽할 수 있습니다.김녕공원 제주도에 위치한 김녕미로공원.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모양으로 쌓여 있을 것이다. 바로 이렇게 쌓인 과일에 수학의 난제가 숨어 있다.17세기
초
영국의 수학자 토마스 해리엇은 일정한 공간에 대포알을 가장 많이 쌓을 수 있는 방법을 궁리하다가 유명한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케플러와 의논했다. 구 모양의 물체를 쌓으면 어쩔 수 없이 빈 공간이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연구를 진행한 프랑스 리용대의 제롬 카스파리안 박사는 “이번 실험에 사용한 펨토
초
테라와트 레이저보다10배 정도는 출력이 더 센 펄스 레이저를 사용해 연속적으로 쪼이는 방법을 찾고 있다”며 다음 연구 계획을 밝혔다.미 해군연구소(NRL)의 과학자들은 물속에서 음파를 만드는 새로운 기술을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계기도 ‘세포의 일생에서 중요한 것은 뭘까’라는 호기심이었다고 말한다. 리보솜 연구
초
기에 당시 바이츠만연구소 소장이었던 마이클 셀라는 요나트 박사가 대단한 잠재력을 가졌기 때문에 이 연구에 많은 돈을 지원해야 한다고 키멜만 가문을 설득해 엄청난 후원을 이끌어냈다고 한다.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대답한 학생보다 더 우수한 영재일까.만일 내 시계가 정밀하고 위성에서 온 신호는 0.1
초
이전에 보낸 것이라면 나와 위성 사이의 거리는 29만 9792.458km(빛의 속도) × 0.1
초
=2만 9979.2458km이다. 그런 점은 위성을 중심으로 반지름 2만 9979km인 구의 표면에 있는 모든 점들이다. 위성 2개와의 거리를 알면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안녕! 나는 역사상 최
초
의 건축가로 알려진 임호텝이라고 해. 나는 지금으로부터 약 4670년 전 이집트에 인간이 만든 가장 높은 건물인 피라미드를 ... 익혀서 놀라운 첨단 기술 발전시켰다는 소문이 들려오기를 기다리고 있을게!참, 돌아가기 전에
초
고속 엘리베이터나 한 번 타 봐야지! 슝슝 ... ...
사각형이 만드는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이 도형을 4차원 입방체라고 부른다. 4차원 입방체처럼 n차원까지 확장한 도형을
초
입방체라고 한다. 3차원인 정육면체의 전개도가 2차원에서 그려지듯 4차원 입방체의 전개도는 3차원에서 그려진다. 전개도를 보면 4차원 입방체가 정육면체 8개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예술가들은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니콜라스 블룸베르겐과 함께 1981년에 각각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그러나 세계에서 최
초
로 레이저 발진에 성공한 시어도어 메이먼은 노벨상을 수상하지 못했다. 레이저 개념의 창시자인 굴드도 과학자로서의 명예를 찾지는 못했다. 그는 특허 출원에도 실패하고 자신의 레이저도 완성하지 못했다.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