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설
인공
제작
제조
처리
d라이브러리
"
가공
"(으)로 총 991건 검색되었습니다.
꿀벌의 4번째 선물, 프로폴리스
과학동아
l
200809
일본 건강영양식품협회의 권장량 기준에 따르면 프로폴리스 음료처럼 프로폴리스를
가공
하거나 함유한 식품에 들어있을 경우 하루에 150~800mg을 먹는 것이 적당하다.한편 프로폴리스는 위궤양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도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원대 수의학부 권명상 ... ...
‘숨겨진 보물’ 감자, 킹왕짱!
과학동아
l
200809
감자의 변신을 기대해보자.김현준 과장 >강원대 농학과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가공
용 감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에 재직하며 22년 간 감자만 연구한 감자 전문가다. ‘감자백과’ ‘감자총서’ ‘식물유전자원학’ 등 관련 책 11권을 썼다. 200 ... ...
3. 추위에 강한 생물자원의 보고
과학동아
l
200808
뜻이다.AFPs는 생명공학뿐만 아니라 농업에도 활용될 수 있다. 저온숙성을 해야 하는 유
가공
식품에 이를 활용하면 더 낮은 온도에서 얼지 않은 상태로 유제품을 숙성시킬 수 있어 제품생산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 감자 같은 고랭지 작물에 적용하면 냉해에 견디는 능력이 좋아져 생산량이 늘고 ... ...
스톤헨지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7
광전효과를 활용한 광전지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기관 표면에 셀렌을 증착하고 열
가공
하여 결정화한 다음 그 위에 금속 또는 산화카드뮴으로 된 반투명 박막을 접착시킨다그리고 이 박막에 빛을 쬐면 셀렌 결정층과 박막 사이의 경계에 광기전력 효과가 생겨 전하를 만든다기판과 박막을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06
벨트 풀리 사이에 이음매가 없고 넓적한 환상(環狀)의 벨트를 회전시켜 그 위에 재료 ·
가공
품 · 완제품 등을 운반하는 컨베이어이다주로 수평면 또는 경사면에서 사용된다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본래의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전자장치 ... ...
할리데이비슨의 3대 매력
과학동아
l
200806
날씨에도 라이더의 품위를 지켜준다. FXRG 재킷은 ‘프리-슈링크’ 방식을 사용했는데,
가공
하기 전 가죽을 압축해 섬유조직 밀도를 2배 이상 높였다. 일반 가죽은 가죽의 틈새로 물이 스며들면 틈새가 벌어져 물이 더 많이 스며든다. 결국 재킷은 물에 젖고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FXRG 재킷은 ... ...
다이아몬드 자태 빛나게 한 백금 세팅 기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806
강도가 높고 밝은 금속인 백금은 녹는점이 1772℃로 금(1064℃)이나 은(962℃)보다 훨씬 높아
가공
하기가 어려워 산소용접이 발명되기 전까지는 제대로 쓰이지 못했다. 무색투명한 보석의 여왕 다이아몬드는 백금 세팅으로 한층 더 빛을 발했다. 다이아몬드는 탄소(C)만으로 이뤄진 ‘순수한’ 보석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06
필요 없으므로 동기속도를 필요로 하는 수십W 출력의 소형전동기로 사용된다기계
가공
부품에 있는 둥근 모양을 검사하는 윤곽 게이지의 하나 반지름을 검사한다는 뜻에서 R게이지라고도 한다둥근 모양의 반대 모양으로 된 여러 가지 치수의 얇은 강철판을 한 벌로 하고, 이것을 부품에 대었을 때 ... ...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
과학동아
l
200805
위에 막 모양의 회로소자를 형성하여 초소형으로 구성한 전자회로 여기서 막은 기계
가공
으로 만들 수 없는 얇은 막을 총칭하며, 그 중에서 진공증착(眞空蒸着) · 스퍼터링과 같이 진공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얇은 막을 박막, 또 스크린인쇄 기술을 응용하여 형성하는 약간 두꺼운 막을 후막이라 ... ...
BT+IT+NT 삼박자 갖춘 '똑똑한 폰'
과학동아
l
200805
남아있는 질병의 ‘흔적’도 찾아낼 수 있다.바이오나노연구단은 칩 표면에 ‘특별
가공
한 풀’을 이용해 나노미터 수준의 단백질을 일정한 방향으로 붙이는 원천기술을 개발해 미국의 화학관련 전문지인 ‘분석 화학’ 2007년 4월호에 발표했다.칩 표면에서 ‘풀’의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일까?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