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d라이브러리
"
가설
"(으)로 총 1,4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이종교배 - 네안데르탈인은 사라졌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여러 대륙의 인류들이 꾸준히 문화와 유전자를 공유하면서 호모 사피엔스로 진화했다는
가설
이지요. 답은 무엇일까요? 우선 아프리카 기원론은 화석과 유전자 증거를 통해 큰 힘을 얻고 있어요. 그렇다면 다른 고인류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2010년, 독일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의 스반테 패보 ... ...
[수학뉴스] 필즈상 수상자 마이클 아티야 별세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당시 증명과는 관계없는 이야기만 해 많은 수학자들이 의구심을 보였습니다. 결국 리만
가설
관련 일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습니다. 한편 2018년 12월 22일에는 필즈상 수상자인 벨기에 수학자 장 부르갱이 췌장암으로 투병하던 끝에 66세의 나이로 숨을 거뒀습니다. 부르갱은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명성 높은 프랑스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어느 날 ‘과학과
가설
’이라는 글을 읽고 푸앵카레의 ‘차원론’에 대한 이야기를 피카소에게 들려줍니다. 피카소의 새로운 차원 피카소는 캔버스에 입체의 여러 면을 한꺼번에 나타내고 싶었습니다. 즉 인물의 앞모습을 ... ...
Intro. 소수가 만든 최고의 마법 리만
가설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소수는 모든 수를 만들어내는 마법을 부린다” 1과 자기 자신 외에는 어떤 수로도 나뉘지 않는 소수. 문명이 시작될 무렵부터 인류는 소수가 만드는 마법에 빠져들었습 ... 리만
가설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
Part 2. 리만
가설
로 가는 길Part 3. 22년 동안 리만
가설
에 도전한 수학자 . ...
Part 2. 리만
가설
로 가는 길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리만
가설
이 발표된 이후 160년 동안 많은 수학자들이 바통을 이어가며 리만
가설
증명에 도전했습니다. 그들 중 일부는 리만
가설
연구를 조금씩 진전시켰습니다. 학자들은 리만
가설
을 풀면 다른 종류의 제타 함수들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합니다.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위에 있다는 것을 밝히고 모든 숙제를 후대 수학자에게 맡겼습니다. 올해는 그가 리만
가설
을 발표한 지 160년이 되는 해입니다. 지금도 인류 최고의 수학자들은 리만이 남긴 소수의 비밀을 풀기 위해 도전하고 있습니다 ... ...
Part 3. 22년 동안 리만
가설
에 도전한 수학자 이야기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160년 전 리만
가설
이 발표된 뒤 수많은 수학자가 리만
가설
을 증명하기 위해 도전했지만 모두 하나같이 실패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지금은 리만
가설
에 도전하는 ... 화려한 업적을 많이 남기지는 못했지만, 기 교수는 꿋꿋하게 자신만의 발걸음으로 리만
가설
을 향해 걸어가고 있습니다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이끈 앤드류 갤럽 박사는 “이번 연구는 뇌의 온도를 떨어뜨리기 위해 하품을 한다는
가설
에 힘을 실어 주는 결과”라며, “어른이 영유아보다 하품을 길게 하는 것도 같은 이유일 것”이라고 말했어요. ● 후보 5 이다솔 기자 - 일상부터 유전자까지 인간 탓에 변하는 동물들 어과동의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빨간 장미가 있다면,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포유동물이 아니다’인데, 이때 ‘척추동물이 아닌 지렁이는 포유동물이 아니다’가
가설
을 입증한답니다. ▶이 질문이 왜 중요할까? 이 이야기는 1940년대 미국의 과학철학자 칼 구스타프 헴펠이 ‘입증’의 정확한 뜻을 이해하려고 만든 ‘까마귀 역설’ 문제예요. 그는 결국 빨간 장미가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거예요. 그럼 매리는 “저건 바나나에 빨간색이 칠해진 거구나!”라고 말하겠지요.
가설
2 “저건 노란색이야.” 노란 빛은 파장의 길이가 570~590nm, 빨간 빛은 파장의 길이가 625~740nm인 전자기파예요. 두 빛은 우리 눈에 들어오면 서로 다른 시각세포들을 자극해요. 그럼 이 전기 신호가 두뇌 피질에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