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설"(으)로 총 1,4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를 시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주장이 있지만, 현재는 지질시대에 살던 생물의 사체가 변해서 석유가 만들어졌다는 가설이 가장 유력해요. 호수와 바다를 떠다니던 플랑크톤과 같은 생물의 사체가 바닥에 켜켜이 쌓이다가 지각변동이 일어나 땅속으로 이동한 뒤, 지열과 지압에 의해 분해된 거예요. 그 결과 검은 기름, 즉 석유가 ... ...
- 내가 독도에 갈 확률은 얼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옮겨집니다. 그럼 내가 독도에 있을 확률은 1/1000, 서울에 있을 확률은 999/1000겠죠. 가설2 여러분이 독도에 있을 확률은 1/2이에요. 2002년, 스웨덴 현대 철학자 닉 보스트롬은 가설1처럼 생각하는 게 이상하다고 여겼어요. 닉은 먼 미래에 과학자들이 두 우주론 중 어떤 것이 옳은지 탐구하는 ... ...
- 트와일라잇 존, 바다눈이 지구온난화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약 4만 배 긴 거리를 매일 왕복하는 거예요.이들이 주야수직이동을 하는 이유에는 여러 가설이 있지만, 과학자들은 먹이를 찾고 포식자를 피하기 위한 행동이라고 생각해요. 동물플랑크톤은 수면에 가득한 식물플랑크톤을, 어린 어류는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을 먹기 위해 올라오는 거지요.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컵에 담겨 있는 건 물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추상적 개념은 어디서 오는 걸까요? 가설 1처럼 우리의 머릿속에 있는 걸까요? 가설 2처럼 어떤 물질을 무엇이라고 배웠는지에 달린 걸까요? 아니면 아예 머릿속도, 물질도 아닌 다른 곳에 있는 걸까요? 그렇다면 세계가 물질이나 에너지만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기존의 생각이 잘못된 건 아닐까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엽록체가 되어 함께 살기 시작했다는 거예요. 처음에 많은 과학자들이 이 가설을 믿지 않았지만, 세포 내 공생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속속 발견되면서 현재는 정설로 인정되고 있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비상! 세계는 바이러스와 끝없는 전쟁 중! 지난 5월 21일, 인도 남부지역에서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연구해요. L-함수는 어떤 함수의 무한급수에 관한 해를 구할 때 쓰는 함수예요. 리만 가설에 등장하는 ‘리만제타 함수’도 L-함수의 하나죠. ● 어린 최영주, 수학자의 꿈을 꾸다 Q. 왜 수학자가 되고 싶다고 생각하셨나요? 고민이 많은 사춘기 때였어요. 어느 날 전 인생의 모든 것이 변한다는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가 구조색을 띠게 된 이유로 현재 학계에서 가장 지지받는 가설은 바로 구애다. 새는 짝을 찾기 위해 종마다 자신만의 매력을 뽐낸다. 노래를 하거나, 춤을 추거나, 또는 화려하거나. 이 선임연구원은 “세 가지를 모두 잘 하는 새는 없다”며 “아마 노래나 춤에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빛의 속도로 달리면서 거울을 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을지에 대한 질문이지요. 빛의 속도로 달리는 기차 안에서 거울을 볼 수 있을까요? [가설1] 거울에 얼굴이 비친다! 아무리 빨리 달려도 흔들리지 않는 기차에 탔다고 생각해 보세요. 이때 창문이 가려져 바깥 풍경을 볼 수 없다면 기차가 달리고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17세기 과학자 갈릴레오 ... ...
- [수학뉴스] 잠자리 날개 무늬, 진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닮았을까?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분석했습니다. 그결과 연구팀은 잠자리의 날개 무늬가 다음 단계를 거쳐 형성된다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먼저 날개를 여러 구획으로 나누는 긴 ‘시맥’이 형성됩니다. 시맥은 매미나 잠자리 같은 곤충의 날개에 있는 체액이 흐르는 관입니다. 각 구역 내에 작은 시맥은 시맥 형성을 방해하는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흑체복사를 설명하기 위해 ‘빛은 정수배의 특정한 진동수를 갖는 에너지 알갱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플랑크는 진동수를 에너지로 바꿔줄 플랑크 상수(h)를 도입했고, 플랑크 상수는 당시의 물리학을 바닥부터 흔들어 놓는 양자역학의 문을 열었다. 기술 발전으로 업그레이드 된 칸델라고온의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