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책] 당신을 열 번째 과학카페로 안내한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과학 뉴스도 다르지 않다. 태양전지의 효율은 하루가 다르게 높아지고, 새로운 약이
곧
개발된다는 뉴스가 범람한다. 쏟아지는 소식들 속에서 진짜 독자들에게 알려줘야 할 원석을 찾기란 쉽지 않다.이 책 속에서 지난 1년간 우리를 스쳐 간 과학 이슈 중 꼭 기억할 원석을 확인할 수 있다. ... ...
연립방정식으로 쑥쑥 AI 지능을 키워라!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어느 인공지능(AI) 연구소야. 저기 기계학습 알고리듬을 탑재한 AI 로봇 ‘아이폴리’가
곧
탄생하려고 해! 아이폴리는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며 똑똑해질 거야! 이때 중요한 요소는 데이터야.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규칙을 찾아내 결과를 예측해 행동하지. 기계학습 AI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보물을 품은 거인? 고대 유적의 비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떠나자.”“네? 왜요? 조금 더 있으면서 말캉도 먹어보면 안 되나요?”하지만 딱지는
곧
이유를 알 수 있었습니다. 사방에서 그렁그렁한 눈빛을 한 주민들이 다가오고 있었습니다. “우주순찰대면 친절하게 우리 부탁을 들어주겠지?”“말캉 열매를 딸 일손이 필요한데….”“누가 우리 아이 수학을 ... ...
[기획]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배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학습에 사용된 대부분의 언어 자료가 표준어라 사투리는 알아듣지 못하지요. 하지만
곧
사투리를 알아듣는 인공지능이 탄생할 예정이에요.지난해 11월부터 인공지능(AI) 기업 솔트룩스는 ‘당신의 사투리를 삽니다’라는 포스터를 내걸고 인공지능 학습에 이용할 한국어 방언 정보를 대규모로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UV 레진으로 햇빛을 잡아보자 선캐처 만들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 10만의 꿈을 꾸고 있는데요. 선캐처로 좋은 기운을 긁어모으면
곧
이뤄질까요?야심 차게 선캐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우선 투명하면서 원하는 모양을 쉽게 만들 수 있는 소재를 찾아야 합니다. 이번 실험의 주인공인 자외선(UV) 레진이 바로 그런 소재죠. UV 레진은 물엿처럼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표정을 숨기지 못한 채 빨간색 셀로판지로 감싼 손전등을 이리저리 비추며 장난을 친다.
곧
이어 도착한 선생님은 어둠이 내려 앉은 밤과 달리 얼굴이 환하게 피어 있는 아이들을 불러모아 차근차근 앞으로 우리에게 일어날 일을 설명하기 시작한다. 1998년 11월 18일, 수능 전날 밤의 일이었다.사자자리 ... ...
[이달의 과학사] 1910년 3월 5일 즉석 라면의 발명가 안도 모모후쿠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라면’을 출시합니다. 처음에는 생면보다 6배나 비싸 고급 음식으로 대접받았지만,
곧
큰 인기를 얻게 되었죠. 안도 모모후쿠 회장은 이후로도 꾸준히 라면을 연구했어요. 1971년, 컵에 들어있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컵라면을 발명한 것도 그였죠. 안도 모모후쿠는 지난 2007년 1월 5일, 96세로 세상을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있을 수밖에 없었어요. 학자와 충분히 상의하고 도면을 들여다봤죠. 사진에 담긴 관점이
곧
후손이 이 유물을 바라보는 관점이라는 생각을 하면 늘 공부할 수밖에 없어요.” 사진 기증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한국에 남겨진 유물 대부분은 박물관 수장고에 잠들어 있다. 큐레이터에게 선택돼 ... ...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이 알고리듬이 가능할지 알아보고 가능하다면 직접 이 알고리듬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곧
지도 교수님과 함께 클리크 너비와 똑같은 성질을 가지면서도 더 간단하게 그래프의 복잡도를 나타낼 수 있는 ‘랭크 너비(rank-width)’라는 개념을 생각해냈습니다. 이를 이용해 클리크 너비 범위에 대한 ... ...
[기후위기 연중기획] 자동차 기술로 기후위기 극복한다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동’에 허비하던 에너지를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분야에 쓸 수 있게 됐고, 이는
곧
혁신의 원동력이 됐다. 하지만 자동차가 인류에게 긍정적 영향만 끼친 것은 아니다. 지난 135년간 자동차가 내뱉은 온실가스는 ‘기후위기 가속화’라는 치명적인 부메랑으로 돌아와 인류가 시급히 해결해야만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