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정식"(으)로 총 1,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본 기후변화의 미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있지. 하지만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정확한 해를 찾는 방법은 아직 아무도 몰라. 이 방정식의 근사해를 찾는 방법이 많이 나와 있긴 하지만, 시공간적 정확도는 그다지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물론 시공간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정확도가 높아질수록 계산 시간이 함께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하지만 1999년에 개봉한 스타워즈 시리즈의 1편에는 전투 로봇이 등장한다. 수학 방정식을 적용한 컴퓨터 그래픽 덕분이다. 특수효과를 담당한 제작진은 관절로 연결된 단단한 물체의 움직임 표현하는 ‘강체’의 운동에 대한 수식을 적용해서 전투 로봇의 움직임을 나타냈다. 2002년에 개봉한 ... ...
- [수학뉴스] 테렌스 타오 교수 덕에 빛을 본 고유 벡터 연구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델프트공과대학교에서 네트워크 이론을 연구하는 피에트 판 미에그헴 교수가 이 방정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값인 ‘고유 벡터 항등원’을 이미 연구했다는 점입니다. 타오 교수의 연구 덕분에 알려지지 않았던 미에그햄 교수의 연구까지 재조명된 거죠.이번 연구 결과는 현재 학술지 출판을 ... ...
- 이 시각 MIT에서는? ‘위대한 적분가’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대회라니 정말 MIT 학생들 답지 않나요? 꼭 적분이 아니어도 좋아요! 반 친구들과 이차방정식 대회, 인수분해 대회 같은 수학 대회를 열어 즐겁게 수학을 공부해보는 건 어떨까요? tip1 ● 글씨는 가능한 작고, 복잡하게!적분 대회에서는 옆 사람의 칠판을 봐도 ... ...
- 강아지 나이 계산법이 틀렸다고? 수학으로 바로잡는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로그야. e의 근삿값은 2.71827282…이지. 이 공식은 래브라도 리트리버를 기준으로 만든 방정식이라서 다른 강아지들과는 조금 다를 수 있어. 그러니 네가 다른 종 강아지를 알고 있다면 참고용으로만 활용하도록 해. 그래도 다짜고짜 7을 곱하는 것보다는 훨씬 유용할 거야. 앞으로는 내가 어리게 ... ...
- [이달의 수학자] 수학자 가문의 맏형과 대들보 … 자코브, 다니엘 베르누이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베르누이 정리는 일정하게 흐르는 유체의 속력과 압력, 높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방정식입니다. 명망 있는 수학자 가족을 대표하는 사람이지만 자코브 베르누이와 다니엘 베르누이의 삶은 순탄치 않았습니다. 수학적인 업적을 두고 자코브와 다니엘 모두 요한과 관계가 단절될 정도로 갈등을 ... ...
- [수학뉴스] 세포 사이의 대화 수학으로 엿듣는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움직이는 동기화 현상을 나타냈습니다. 연구를 이끈 김 교수는 “복잡한 시스템을 미분방정식으로 단순하게 표현하지 않았다면 세포의 의사소통 방법을 규명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10월 14일자에 실렸습니다 ...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실제보다 더 생생한 파도를 만드는 ‘APIC 알고리듬’을 개발했어.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근삿값을 찾아 역동적인 파도를 나타낼 수 있게 한 거야. 기존에 쓰던 알고리듬은 물방울의 속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는데, 새 알고리듬으로 물방울을 격자로 옮겨 더 자연스러운 파도를 만들어낸 거지 ... ...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요소’과 같은 또 다른 주요 요소를 검토해야 해요. 이것은 마치 4개의 미지수로 세운 방정식을 푸는 것과 비슷해요. ‘플라스틱 플래닛’의 초기 작품은 거의 100% ‘운’으로 승패가 결정되는 게임이었어요. 만들 당시에는 게임에 푹 빠져있어 이런 맹점을 전혀 파악하지 못했었는데, 막상 ... ...
- 블랙홀에 떨어지면 어떤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거예요. 독일의 천문학자인 칼 슈바르츠실트는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우주의 공간에 관한 방정식을 풀어 보았어요. 그러자 어떤 천체를 한계 이상으로 압축하면, 빛조차 탈출하지 못하는 공간이 생긴다는 결과가 나왔어요. 예를 들어, 지구를 반지름이 0.9cm인 공으로 압축하면 블랙홀이 생긴다는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