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동
어린이
어린아이
유아
어린애
갓난아이
동자
d라이브러리
"
소아
"(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복용하면 기형아가 태어나는 수면제)사건은 정보은닉의 또 다른 비극이었다. 서독
소아
과의사인 렌츠박사의 경고가 알려지지 않은채 탈리도마이드는 판매되었고 절반 정도의 피해자는 렌츠박사의 경고후에 증세가 나타났다.정보공개제도는 북유럽의 모든 나라와 미국 독일 오스트리아에 이어 ... ...
키 땅딸이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더디게 자랄 때는 이 호르몬들의 혈중농도를 살펴야 한다."연세대 의대 김덕희교수(
소아
과)의 말이다.영양학자들은 열량이 높은 음식보다 영양가가 많은 음식이 키를 크게 해줄 것이라고 얘기한다. 특히 단백질 함량이 높은 음식을 즐기기를 권하고 있다. 또 뼈의 주성분인 칼슘과 인산의 함량이 ... ...
몸무게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약 80%가 지방간 당뇨병 고혈압 등 각종 성인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지난 해에 조사돼(대한
소아
과학회) 큰 충격을 던지기도 했다. 어린이나 청소년 비만은 성격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내성적인 성격을 갖기 쉽고 충동적인 행동이 많으며 사회적응성도 떨어지게 되는 것.'만병의 근원'인 ... ...
(3) 정박아 기형아 낳을 위험성 높아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X와 Y같은 성염색체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소아
기까지 뚜렷한 신체 증세가 나타나지 않아 모르고 지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나 상염색체 이상은 증세에 차이가 있기는 하나 공통적으로 출생전후의 발육부진, 심한 정신박약, 다발성 기형(여러 가지 기형의 ... ...
의료분쟁 해마다 증가추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나눠보면 정형외과(98건) 산부인과(73건) 신경외과(66건) 내과(54건) 일반외과(49건)
소아
과(22건) 성형외과(14건) 순이었다.의료사고 발생건수에 있어서 정형외과와 산부인과는 늘 선두자리를 다투고 있다. 정형외과는 그 특성상 응급상황이 자주 벌어지고, 결과가 확연히 드러나는 수술을 해야 하는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연구는 '사람처럼' 생각하는 컴퓨터를 기대하지만 바로 사람을 만들어 보려는
소아
적인 태도는 아니다. 또한 이것은 인간 신비에 대한 부정이나 도전도 아니다. 우리는 흔히 무지와 신비를 혼동하는 경향이 있는데, '저 무한한 우주의 영원한 침묵'을 경험한 사람들은 신비주의자나 도덕론자들이 ... ...
현대의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또 한 사람은 니콜라우스 비르트교수였다. 특히 호어는 많은 학자들이 자신들의
소아
병적인 고집만을 주장하고 있음을 개탄했다. 그래서 아예 다른 종류의 고급 언어를 개발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당시 알골68을 실제 사용하고 있었던 기관은 유럽을 통틀어 영국 레이더 연구소 한 곳 뿐이었다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과학기술용 범용언어에 대한 회의가 열렸다. 배커스도 초대 됐다. 학자들 특유의
소아
병적 고집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소수점을 문장의 분리기호로 쓸 것인가의 문제로 격론이 벌어졌다. 위원장인 웨그슈타인의 중재로 그 문제는 뒤로 돌려진채 각자 방에서 분을 삭인 대표들은 다시 회의장으로 ... ...
소아
당뇨병 치료에 획기적 방법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소아
당뇨병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소아
당뇨병에 걸린 아이들은 혈당치를 계속 측정하고 매번 인슐린 주사를 놓아야 하는데 그 물리적 심리적 부담이 보통 큰게 아니다. 또한 발병 후 10여년 이상이 되면 눈이 보이지 않고 위장이 악화되는 환자도 많다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태어났다. 아버지 이봉춘씨는 회사를 경영하다 그가 대학 1학년때 병으로 작고했고
소아
과의사였던 어머니 박순희씨가 그와 어린 동생들을 길렀다. 그는 경기고 2학년때 학교를 그만두고 검정고시를 거쳐 1952년 서울대 화공과에 입학한다. 그가 입학할 당시부터 10여년간 서울대 화공과는 전국에서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