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아"(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과학동아 l1989년 01호
- 아기가 출산하기 이전에 아기에게 문제가 생기리라고 예상하는 경우에는 소아과의사를 미리 불러서 대기시켜 놓기 때문이다.최근에는 초음파를 위시하여 여러 종류의 의료기기가 발달되어 아기가 태어나기전에도 자궁안에서 아기가 어떤 상태에 처해 있는지, 또는 출산 후에 문제가 생기게될는지 ... ...
- 우리몸을 방어하는 장기 편도선, 수술하면 오히려 큰 손해볼수도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외적으로 부터 방어하는 기능을 한다는 주장이다. 항체생성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소아기에 편도가 발육 비대되나 점차 성장하여 저항력이 증가됨에 따라 퇴화하는 것도 이러한 학설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이러한 방어기능설외에도 조혈기능설, 내분비기능설, 비타민생성설, ... ...
- 대자연과 인체의 합창같은 매력에 끌려과학동아 l1988년 08호
- 이수해야 한다. 또 간(肝)계·심(心)계·비(脾)계·폐(肺)계·신(腎) 등 5개 내과학 부인과학 소아과학 침구과학 신경정신과학 외과학 안(眼) 이비인후과학 피부과학 물리요법과학 등 전공 임상과목을 배우게된다. 한방과목과 양방과목의 비율은 2대 1정도 짜여져 았다.●-국외로 진출하는 ... ...
- 인체속에서 놀라운 역할을 하는 원소 미량금속과학동아 l1988년 08호
- 아연이 많으나 분유에는 없다. 그래서 어떤 방법으로 아연을 첨가해야할까 하고 소아과 의사들이 최근 10여년 동안 연구해왔다. 약 5년전에 샌디에이고에서 열렸던 국제영양학회에서는 우유에 대한 아연첨가효과에 대한 보고가 많이 있었다. 그러나 어떤 나라에선 지금도 아연 첨가가 금지되어 ... ...
- 연세대 심장내과 이웅구 교수 심장의 승모판막 협착증을 풍선으로 풀다과학동아 l1988년 07호
- 선천성 협착증에 대해서는 이미 사용되고 있읍니다. 그런데 이 병은 선천성이기 때문에 소아과의사의 영역이죠. 또 승모판막 협착증의 풍선요법보다는 한수 아래의 기술입니다"-부작용은 없었읍니까? 또 비용은 어느정도 듭니까?"아직 이렇다 할 부작용은 없어요. 그리고 입원기간이 짧아(5일 정도) ... ...
- PART3 골치아픈 피부질환들과학동아 l1988년 05호
- 자각증상은 없다. 안면(이마 양쪽볼 입주위)손등 무릎 손목 등에 흔히 발생되며 어른보다 소아에서 호발한다. 굵은 자국을 따라 병변이 확산 배열되어 선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흔히 관찰할 수 있다. 족저사마귀가 심상성사마귀와 다른점은 체중 때문에 눌려 피부 표면으로 돌출되지 못하고 깊이 ... ...
- 젊은 과학도들이 일으키는 신선한 바람 엘리트로 자족해선 안된다과학동아 l1988년 02호
- △봉직의 : 문병수(강화병원·내과) △전공의 : 김유호(한국보훈병원·소아과) △개원의 : 김기락(신촌연합의원·가정의학과) 현재 회원은 2백여명으로,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가 가장 많고 교수도 17명이 포함돼 있다. 사업은 상담부 진료부 학술부 출판부 홍보부 등 5개 부서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 ...
- 남자와 여자는 무엇이 다른가과학동아 l1987년 07호
- 남성은 약한 것 같다. 어린이의 정신병이라는 자폐증은 남자어린이가 여자어린이의 4배, 소아성분열증은 8~10배나 된다. 노인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60세를 지난 남자가 아내를 잃으면 그 70%가 3~4년 안에 숨진다는 통계가 있다. 그러나 여성은 60세를 지나 남편을 잃어도 수명에 별 영향이 없다는 ...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과학동아 l1987년 07호
- 주는 것일까.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이화여대 부속병원 소아과과장 이근 교수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사람의 몸은 아주 정교하게 반응하고, 항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이 매우 강하다. 탈수·탈염효과의 강조는 콩팥을 무시하는 이야기다. 콩팥은 몸안의 ... ...
- 쌍동이의 과학과학동아 l1987년 02호
- 신부가 일년만에 두아이 또는 세아이의 어머니가 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1975년 대한소아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쌍동이는 78.3명의 신생아중 1쌍, 세쌍동이는 7천9백3명중 한번꼴로 태어난다고 한다. 같은해 대한산부인과학회지에서는 쌍동이 발생빈도를 71대1로 보고하였다. 쌍동이 ... ...
이전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