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줄
끄나풀
면사
무명실
리본
현
d라이브러리
"
실
"(으)로 총 948건 검색되었습니다.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유리 표면에 1㎛(마이크로미터 : 100만분의 1미터) 두께로 유리를 이루는 주재료인 이산화
실
리콘을 코팅했어요. 그리고 이 유리를 금속판 위에 올려놓고 *플라즈마 상태의 불소와 탄소가 결합한 CF4(사불화탄소) 가스를 불어넣었어요. 그러자 금속판에서 금속입자들이 유리 표면 곳곳으로 올라와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기본 자질들을 탄탄하게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해요. 여러분도 기본에 충
실
하길 바랍니다.”# 어? 내 모자가 점점 희미해지고 있어! 호모 에렉투스 최고의 요리사라고 자만하던 내게 이 모자는 요리에 대한 많은 깨우침을 줬어. 내가 살던 시대로 돌아가면 사람들에게 맛있는 음식을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원이 원판 가운데에 나타난다. 여러 가지
실
을 쓰면 작품이 완성될수록 무늬가 겹쳐서
실
을 규칙에 맞게 걸기가 어려워진다.스트링아트를 완성한 두 독자기자는 곧바로 ‘678클라인병’ 만들기에 도전했다. 이름도 낯선 ‘클라인병’은 내부와 외부가 구분되지 않는 독특한 병이다. 그래서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바꾼다.바이오닉캥거루두 발로 콩콩 뛰는 로봇독일 생체모방로봇제조업체인 페스토는
실
제 캥거루를 모방한 로봇 ‘바이오닉캥거루’를 만들었다. 캥거루는 뛰어올랐다가 땅에 착지할 때 아킬레스건에 에너지를 축적했다가 다시 이 힘으로 뛰어오른다. 바이오닉캥거루는 탄성이 강한 고무와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하고 있는 것이다. 그 작업이 하도 신기해 가까이 가 유물을 살펴봤더니, 의외의 사
실
을 알 수 있었다. 가짜 티가 너무 났다. 정 학예연구사는 “복원이라고 하면 감쪽같이 원형을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거야 말로 가짜를 만드는 일”이라며 “문화재의 복원 수칙 1호는 가까이에서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150여 개의 DNA가 이 팔량체에 감긴다. 이외에 H1 히스톤은 DNA가 들어오고 나가는 곳에서
실
패를 고정시키는 집게 역할을 하고, 80여 개의 연결 DNA는 뉴클레오솜과 뉴클레오솜의 사이를 잇는다. 이런 뉴클레오솜이 촘촘히 뭉쳐 염색체가 된다. 전사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전사인자나 증폭자가 프로모터 ... ...
쉬운 일을 어렵게 하는 매력, ‘골드버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몇 단계를 더 거친 뒤 마침내 대포를 발사한다. 이는 어떻게 뽑냐고? 대포 알에 연결된
실
이 뽑아준다. 이 하나 뽑으려다 전쟁까지 날 판이다. 이거야말로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우는 격이다.하지만 이런 발상의 엉뚱함은 사람들을 매료시켰다. 루브골드버그는 세계적인 언론사 뉴욕타임스에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실
패 역할을 하는 히스톤의 아세틸화가 DNA를 풀었다 감으면서 전사를 조절하는 것이 확
실
해졌다.1996년 이후의 후성유전학은 이전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전에는 후성유전학의 개념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었다. ‘DNA 외에 무엇인가 있을 거다’나 ‘메틸화가 DNA에 영향을 줄 것이다’라는 추측만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있다. 어찌 보면 원자력발전처럼 양면성을 띄는 기술인 셈이다. 좋은 곳에 쓰면 사람들의
실
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겠지만, 잘못된 곳에 쓰면 우리를 위협하는 기술이 될 수도 있다. 딥러닝이 빠른 속도로 인공지능 연구를 견인하는 것은 무척 반가운 일이지만, 기술 발전 그 이상으로 중요한 점을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오래 전부터 낙타는 아랍 유목민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동반자였다. 아랍의 고전에 등장하는 낙타는 슬픔과 외로움을 달래주는 정신적 존재였고, 현
실
에서 ... 같은 병원체도 잘 길들일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MERS 진
실
혹은 거짓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