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줄
끄나풀
면사
무명실
리본
현
d라이브러리
"
실
"(으)로 총 94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똑같이 작동하는 군집 알고리듬 연구 가 필요하다. 처음에 말한 드론 군집 비행도
실
험
실
에 서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해 위치를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자동차 내비게이션이 종종 건물이나 산을 뚫고(!) 가라고 오작동하는 걸 보면, 위 치를 인식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바로 도전해 보자!참여 방법(다양한 활동을 할수록 홍보대사가 될 확률이 높아진다는 사
실
!)청소년 홍보대사의 주요 임무는 세계수학자대회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다. 아래에 나온 다양한 방법으로 세계수학자대회를 홍보하고 이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것이 핵심!홍보 기간7월 16일부터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실
을 통해 소리 파동을 상대방 쪽으로 전달하는 것과 비슷하다. 소리를 전달할 때
실
이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파도 역시 물이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해수욕장에서 튜브를 끼우고 바다에 떠 있으면 해변 쪽으로 밀려가지 않고 위 아래로 출렁거릴 뿐이다. 이제 파도를 ‘분류’해 보자. 파도의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단거리 전자기파가 사람의 세포를 통해 잘 전달되도록 구조를 설계한 뒤 충전이 되는지
실
험했다.그 결과, 새 심장박동기는 피부에 붙인 신용카드만한 전원공급장치만으로 잘 작동했다. 배터리를 뺀 심장박동기는 겨우 쌀알 크기로 줄어들었다. 연구팀의 존 호 연구원은 “심장이나 뇌처럼 민감한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열어놓고 전기장을 걸면 DNA가 구멍 속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두께 1.5nm 정도인 DNA 가닥이
실
타래 풀리듯이 구멍을 지나가요. 구멍이 충분히 작으면 전기전도성의 차이를 측정해서 어떤 분자가 지나가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DNA 염기서열을 구할 수 있어요. 한 사람의 염기서열을 100만 ... ...
수학 문제 증명했더니 그 크기가 무려 13GB?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제공했다고 생각합니다.그 증명의 결과로 13GB 분량의 파일이 생성되었다고 하는데, 사
실
인가요?13GB는 지금까지 나온 증명 중에서 가장 긴 증명입니다. 위키피디아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텍스트 분량이 10GB 정도이니까요. 아마 이 증명을 사람이 확인하는 데만도 수 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 ...
침으로는 ‘슴부심’을 채울 수 없어요~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역시 입증되지 않은 얘깁니다.목숨이 경각에 달려서 지푸라기라도 붙잡는다면 모를까, 확
실
하지도 않는 시술에 기백만 원을 들인다는 건 너무 아깝지 않나요 ... ...
배낭여행 프로젝트 꽃보다 할배 in Spain 좌충우돌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고정된 선을 늘어뜨렸을 때 생기는 곡선으로, 현수교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모래주머니를
실
에 매달아 늘어뜨렸을 때도 현수선이 생기는데, 가우디는 그 곡선을 그대로 본떠서 성당을 설계했다. 현수선이 무게를 안정적으로 나누는 구조이기 때문이다.또한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의 마방진은 ... ...
토러스 매듭 만들기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역할을 하고 있다.먼저 수학에서의 매듭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매듭은
실
이나 끈을 가지고 고리를 만들거나 꼬아 묶은 것을 말하지만, 수학에서는 끈의 양쪽 끝이 연결된 것을 일컫는다. 따라서 원도 매듭의 일종이다.매듭이론은 19세기 말 분자의 화학적 성질을 연구하기 위해 ... ...
호킹은 왜 블랙홀이 없다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둘러싼 이런 혼란이 결국 어떻게 해결될지는 지금 알 수 없으나, 한 가지 분명한 사
실
은 지난 20년간 초끈이론과 양자중력의 발전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이 바로 블랙홀과 양자역학이 공존할 수 있느냐, 그리고 그렇다면 정확히 어떻게 공존하느냐 하는 물음이라는 것이다. 이 문제가 해결됐다는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