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d라이브러리
"
연결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외우고 있던 휴대전화 번호도, 번호를 바꾸면 금세 까먹습니다. 뉴런이 활성화되고
연결
되는 패턴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완벽하게 뇌를 복제하기 위해서는 이런 변화들까지도 모두 파악해 그대로 옮길 수 있어야 합니다. 현실의 전문가들은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완벽한 뇌 복제는 어렵다고 보고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8개의 다리를 붙입니다. 이때 결합 부위에 ‘와셔’를 꼭 끼워야 해요. 와셔는 나사 같은
연결
부위에 끼우는 얇은 판으로, 움직임이나 진동 때문에 나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도 하죠. 완성된 귀뚜라미 로봇은 8개의 긴 다리로 왼쪽과 오른쪽을 차례로 딛으며 앞으로 나갑니다. 울퉁불퉁한 지형을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나타날까? 한 종의 연구를 다른 영장류 종들과 비교하면 그 안에 숨겨진 진화적
연결
고리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필자소개이세인. 이화여대 행동생태연구실 영장류 연구팀 소속으로 현재 스위스 로잔대 방문 연구원으로 머물며 영장류 인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seinlee20@gmail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그런 강자성체를 영구자석이라 일컫기도 한다. 자기장 방향이 정렬되면 전지를 직렬로
연결
한 것처럼 자기력이 커진다. 강자성체는 초자성 재료의 핵심 소재다. 한편 반자성체는 외부 자기장을 가했을 때 원자의 자기장 방향이 인접한 원자의 자기장 방향과 반대를 향한다. 원자들의 N극과 S극이 ... ...
[논문탐독] 휜 숟가락 펴기 힘든 이유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원자들이 정사각형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돼있으며 이 원자들 사이는 스프링 같은 것으로
연결
돼있다고 생각해봅시다. 이 숟가락을 구부리면 먼저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가역적인 탄성변화가 일어납니다. 그러다 더 큰 힘을 가하면 어느 순간 숟가락을 이루는 원자 중 일부가 스프링을 끊고 이웃을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YES.홀린 듯 그 버튼을 눌렀다.팝업이 떴다.백지처럼 새하얀 채팅 창이 보였다. ‘
연결
됨’에 파란 불이 들어왔다. 심장이 덜컥 내려앉았다. 눈물이 날 것 같았다. 숨을 천천히 들이쉬었다 내쉬었다. 긴장한 나머지 손이 뻣뻣하게 굳었다. 아니, 혹시, 설마, 기대하지 말자. 그런 생각을 하며 키보드를 ... ...
[과학뉴스] 웜홀과 블랙홀 똑같은 모습으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11월 10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D.106.104024 웜홀은 서로 다른 두 우주 공간을
연결
하는 터널 형태의 공간이다. 우주선이 웜홀을 타고 이동하면 아주 먼 우주도 빠르게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웜홀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바탕으로 제기된 가상의 개념으로 아직 실존 ... ...
[특집]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가지 상태를 동시에 갖는 양자 중첩과 닮았다. 양자얽힘이란 서로 다른 양자들의 기분이
연결
되어 서로 영향을 주는 것이다. 얽혀있는 두 양자 중 하나의 상태가 결정되면, 나머지 한 양자의 상태도 덩달아 결정된다. 까다로운 양자의 기분을 어이하리 큐비트의 ‘기분’을 연구하기 위해 ... ...
[기획] 0차원의 세계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그리고 0차원은 점입니다. 점을 찍고 그 점과 점을
연결
해 선을 만들고, 다시 선과 선을
연결
해 면이 만들어지는 세계죠. 그런데 과학자와 공학자들은 이 세계와는 조금 다른 차원의 물질을 다룹니다.이들이 다루는 0차원, 즉 점은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점처럼 생긴 것들입니다. 1m를 10억 개로 나눈 ... ...
[기획] 78만 년 전의 발견 구워라! 그러면 맛있어 지리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쪼개서 몸으로 흡수하는 과정입니다. 그런데 음식물에 열을 가하면 분자 덩어리 사이의
연결
이 끊어지면서 크기가 작아져요. 이 과정에서 질긴 식감이 부드러워지기도 하죠. 그래서 같은 양의 음식이라도 구워서 먹으면 날것으로 먹는 것에 비해 소화가 더 잘 되어 영양분 흡수율도 높아져요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