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공"(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의 연구노트] 예상치 못했던 수학자와의 만남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지금은 세상을 뜨신 명효철 교수님의 칠순 기념학회가 열렸다. 명 교수님의 전공은 대수학으로 나와는 거리가 있었지만, 명 교수님과의 친분으로 나도 초청 강연을 했다. 당시 나는 대수학 전문가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강연하려고 노력했고, 청중의 흥미를 끌기 위해 강연 도중에 내가 발표한 결과와 ...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있는 한 실장 역시 기록과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사진학과 함께 문화재보존학을 전공한 것도 그 때문이다. 아버지의 작업을 보며 사진 이전에 문화재에 대한 이해가 필수라는 생각을 했다. 한 실장은 “문화재 사진 작가는 문화재에 남은 흔적, 모양, 제작 방식 등을 살펴보고 문화재를 사진에 ... ...
-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아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발표 직후 트윗을 올렸습니다. 바로 두 수학자의 아들들이 아버지와 같은 분야를 전공하고 있고, 심지어 박사과정 지도교수도 제이콥 폭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같다는 것입니다. 두 명의 수상자와 그들의 아들이 모두 수학자인데 같은 분야를 연구하고, 두 아버지가 아벨상을 ... ...
-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5호
- 길을 걷게 되셨나요?수학을 좋아하긴 했지만, 대학교를 진학할 때까지만 해도 컴퓨터를 전공하고 싶었어요. 하지만 제 마음 어딘가에 수학을 선망하는 마음이 있었던 것 같아요. KAIST는 입학 후 학과 선택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서 여러 선배님을 만나보고 수학과로 진학하게 됐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 ...
-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두고, 안전한 먹거리를 얻기 위해 텃밭을 일군다. 단군 이래 한반도에서 식물 관련 전공자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가 지금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다. 운명처럼 만난 식물세밀화가의 길원예학은 한 문장으로 말하면 인간과 식물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원예학 수업에서는 숲에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작은 크기의 로봇에서 복잡한 자율주행을 구현한 비결을 묻자 김예성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는 “뇌인지과학과 수학을 인공지능(AI)에 접목했다”며 “덕분에 기존보다 연산 과정이 단순해져 큰 장치 없이도 수준 높은 AI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데이터를 수학으로, 초차원 ... ...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월 4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나노물질 양자소자 연구실에서 만난 김영욱 신물질과학전공 교수는 그래핀을 비롯한 2차원 물질에서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양자 상태를 찾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그래핀으로 다시 한번 전성기 맞은 양자홀 상태우리가 실생활에서 마주하는 모든 물질은 저마다의 ... ...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느껴져 우리나라 교육 현실이 안타까웠다”고도 했죠. 하지만 고대 그리스에서 수학을 전공한 현자들이 수학을 통해 성취를 느끼고 성장한 것처럼, 몰랐던 걸 알아내는 기쁨을 생각해본다면 수학에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을 거라고 덧붙였습니다.엔지니어와 개발자 등 수많은 직업을 거치는 동안 ... ...
- [기획] 소리를 전시하다, 연출가 강신욱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음악은 기술과 함께 발전한다강 연출가는 음악계에서 ‘얼리어답터’다. 그의 전공은 입체음향을 구현하는 최신 기술 중 하나인 ‘앰비소닉스(ambi- sonics)’로, 국내 실무 1세대 작업자 중 한 명이다. 우리가 가상현실(VR) 안경을 끼고 고개를 움직이면 그 각도에 맞게 화면이 바뀌는 것처럼, 소리도 ...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말했다.박 실장이 백공 가드너로서의 이력을 처음 시작한 것은 대학이었다. 원예학을 전공하던 그는 당시 원예학의 주류였던 채소 등 실용작물보다 꽃과 정원문화에 더 강하게 매료됐다. 강원도 대관령의 고랭지 채소 농가와 포도주 농장으로 실습을 다니면서도, 관심은 온통 꽃에 가 있었다.하지만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