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당
편
동아리
학교
기준 타수
파라미터
미터
d라이브러리
"
파
"(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주위를 돌고 있는 근지구소행성들도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 띠에서 일어난 충돌
파
편들이 유입돼 형성된 것이 많기 때문이다. 헥 박사는 “더 많은 시기의 운석을 연구해서 태양계 천체들이 어떻게 형성됐고, 서로 상호작용했는지 더 깊이 이해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 ...
[공룡은 왜?] 꼬리뼈에 이빨 자국이? 공룡의 사냥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모양은 오리 주둥이처럼 넓적하지요.이 뼈화석의 가장 큰 특징은 꼬리 부분에 구멍처럼
파
인 흔적이 있다는 거예요. 흔적을 자세히 살펴보면 날카로운 것에 긁힌 상처 자국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바로 에드몬토사우루스의 천적인 티라노사우루스의 이빨 자국이지요.티라노사우루스는 칼처럼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대활약!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목소리로 와인잔을 깬다?!입으로 ‘아~’ 소리를 내면서 목에 손가락을 갖다 대 보세요. 목의 떨림이 느껴질 거예요. 성대의 떨림이 공기를 진동시 ... 와인잔을 깼어요.“손을 안 대고 와인잔을 깬 거 맞지? 하하!”이 광경을 본 시원이의 얼굴이
파
랗게 질렸어요.“어쩌지? 우리 또 진 건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파
부르야, 힘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친구들아, 정말 고마워! 다음 대결에서는 꼭 힘내서 멋진 모습보여 줄게!”오로라는
파
부르의 어깨를 토닥였어요. 시원이는 엄지를 척! 들었답니다.“그런데 다음 대결 주제는 뭘까?”친구들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을 때 누군가 갑자기 문을 벌컥 열면서 외쳤어요.“다음 대결 주제는 이거다 ... ...
[과학뉴스] 개코원숭이도 모음을 말할 줄 안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진화 과정을 밝힐 새로운 단서가 나왔다. 프랑스 엑스마르세이유대 인지심리학과 조엘
파
고트 교수팀은 개코원숭이(Papio papio )가 모음에 가까운 발성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개코원숭이가 내는 소리의 음향 특성을 분석하고, 혀 근육을 해부학적으로 분석했다. 그리고는 두 ... ...
[가상 인터뷰] 아! 이! 우! 에! 오! 인류의 발성 조상은 개코원숭이?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우리가 녹음기에 손댄 건 연구진이 모를 텐데. 녹음기에는 우리가 낸 목소리
파
일 1335개가 담겨있었어요. 연구팀은 이 소리를 모음 기준으로 나눴어요. 우리가 ‘워후’라고 말하면 ‘워’와 ‘후’로 쪼개는 식이지요. 소리뿐만 아니라 우리가 소리를 내는 방법을 해부학적으로도 분석했어요. ... ...
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X-
파
일Part 1. 지구 속 탐사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Part 3. 자기장과 진동Part 4. 맨틀 속 신세계!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 ...
[비주얼 과학교과서] SSG와의 첫 대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2시다. 너희가 늦은 거야.”“미…, 미안…. 내 시계가 고장 났다는 사실을 깜빡했어….”
파
부르가 울 것 같은 목소리로 고백했어요. 그 순간….“다음 대결 주제는 우승팀이 정해라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잡아낼 가능성이 더 높다.새로운 개념의 망원경 ‘LSST’2020년에 남반구에 있는 칠레 중부
파
촌 천체관측단지에 LSST(대형 시놉틱 관측 망원경)의 설치가 완료될 예정이다. LSST의 가장 큰 장점은 3일에 한 번씩 남반구의 전 하늘을 관측할 수 있는 능력이다. 좁은 곳을 자세히 관측하는 허블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고유한 성씨 구성을 보이는 곳으로는 제주도(핑크색)와 강원도 남부(보라색), 안동(
파
란색), 성주(하늘색) 4곳이었다. 제주도와 강원도는 지형적인 고립에 의해 고유한 성씨 구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안동과, 최근 사드 배치로 논란을 빚었던 성주는 특유의 문화를 고집해 온 것이 성씨 구성의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