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당
편
동아리
학교
기준 타수
파라미터
미터
d라이브러리
"
파
"(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정보를 볼 필요가 없다. 적조를 일으키는 미생물의 엽록소가 흡수하는 극히 일부분의
파
장만 보면 된다. 이처럼 전체에서 필요한 정보를 압축하고 추려내는 과정이 전처리인데, 원본 데이터의 양이 워낙 크다보니 전처리에도 시간이 꽤 많이 걸린다.손영백 KIOST 제주국제해양과학연구지원센터 ... ...
[따끈따끈한 수학] 이름 따라 행복한 결말 맺을까? 해피 엔딩 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사각형이라고 부르는 도형이 모두 볼록사각형이지요. 반대로 화살촉처럼 한쪽이 움푹
파
인 사각형을 ‘오목사각형’이라고 부릅니다.더 일반적으로 말해 볼까요? 평면 위의 꼭짓점 n개로 만들어진 n각형에서 꼭짓점 세 개를 아무렇게나 골라 삼각형을 만듭니다. 그 안에 꼭짓점이 하나도 없으면 ...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공이 이 공간을 타고 넘어가 튕겨나갔지요. 물 위로 튕겨 나작하게 찌그러져 그릇처럼
파
인 수면을 따라 튕겨 나갔어요. 이런 과정을 여러 번 반복했답니다. 간 공은 다시 둥근 모습이 됐고, 다시 수면에 닿으면서 납반면 동그란 돌멩이를 던졌을 때는 총알이 깊이 박히는 듯한 모양으로 공간이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이처럼 더 이상 녹일 수 없는 가장 진한 용액을 ‘포화 용액’이라고 해요.융합 개념
파
헤치기세상에서 가장 짠 호수는?사람들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고도 맨몸으로 물위에 떠 있어요! 합성 아니냐고요?이곳은 이스라엘과 요르단에 걸쳐 있는 소금호수, 사해예요. 사해는 세계에서 염도가 가장 높은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의도치 않았던 토러스가 다양하게 생긴다는 거예요.”김주현 작가의 작품에 위상수학이
파
고든 건 2008년부터다. 고등학생인 딸을 따라 서울대 토요과학 강좌에서 위상수학 수업을 듣고 나서부터 모든 관심이 위상수학으로 쏠렸다.“그 전까지는 작품에서 항상 직선만 사용했어요. 직선이 휠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더욱 유명해졌지요. 아르구스2를 이식받은 남성은 이제 사람의 윤곽과 사물의 형체를
파
악할 수 있게 됐답니다.하지만 인공망막의 기능은 아직 눈앞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람의 손 크기를 알아보는 정도예요. 또한 수술과 치료비용은 거의 3억 원이나 돼요. 따라서 앞으로 실제 눈처럼 더욱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있다는 얘기다. 그는 또, “인공위성으로는 빙하가 다 녹고 난 뒤 대략적인 면적 변화만
파
악할 수 있는 반면, 빙하 소리를 분석하면 빙하가 어디에서 얼마나 녹고, 어디로 이동하는지를 미리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이 연구원이 소속된 극지연구소는 미국해양대기청(NOAA)과 함께 남극반도 인근에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서귀포시 중문동에 있는 관광단지 동쪽 해안가에 도착하면 시원스레 부서지는
파
도 소리에 답답한 가슴이 탁 트입니다. 바다 쪽으로 가까이 가면 검붉은 육각형의 돌기둥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 절벽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돌기둥은 어떻게 신이 다듬은 것처럼 정교한 육각형 모양을 하게 됐을까요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어금니로 껍질이 단단한 곤충이나 열매를 깨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몇몇 과학자들은
파
카수쿠스가 오늘날의 작은 식육류(개와 고양이)처럼 살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대리출석을 하게 된 악어노토수쿠스류가 공룡의 그늘 밑에서 성공적으로 번성할 수 있었던 것은 이들의 기회주의적인 성향도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란 온도를 본 적 있나요? 이는 화씨온도의 단위예요. 화씨온도는 독일의 과학자 다니엘
파
렌하이트가 1720년에 만들었어요. 이것은 얼음의 녹는점을 32℉, 물의 끓는점을 212℉로 한 뒤, 두 온도 사이를 180등분 한 온도예요. 사실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섭씨온도를 온도의 공식 단위로 쓰고 있어요.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