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림
감광막
영화
유제
네거티브필름
네거티브
내가티브
d라이브러리
"
필름
"(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내부의 질량과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피부, 장기처럼 밀도가 낮은 조직은 쉽게 투과해
필름
에서 검게 보이는 반면, 뼈처럼 밀도가 높은 부분은 투과하지 못하고 하얗게 표현된다.주의할 점은 X선이 너무 세면 밀도와 관계없이 모두 투과해 버린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X선이 약할수록 흡수가 잘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48시간 동안 배양했다. 건조
필름
배지는 세균 및 진균류가 증식할 수 있도록 영양성분을
필름
에 코팅한 제품이다. 3. 실험 결과 및 토의 ① 제품을 사용하기 전과 후의 세균 수와 세균의 변화율은 앞 표와 같다. ② 올바른 방법으로 손 위생 용품을 사용할 경우 3제품 모두 세균 제거에 효과가 있음을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꿈연구실에서 만난 이 교수의 제자들은 그와 함께‘J번째 시간’을 제작했다. 직접
필름
스피커를 오려 붙여 옷을 만들고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끊임없이 시뮬레이션을 하면서 화려한 영상과 음향을 만들었다. 이 교수가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떠올릴 때마다 시각화, 청각화시킬 수 있는 원동력은 ... ...
가상세계에서 과학실험 맛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것과 없는 것 2종류씩 총 8장의
필름
이 들어 있다. 우드락으로 만든 몸체를 접어 끼운 뒤
필름
을 LED 전구로 비춰 관찰한다. 어두운 곳에서 벽을 향해 비추면 별자리가 나타난다. 투영기로 공부한 다음, 밤하늘에서 실제 별자리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하면서 에너지가 가장 낮은 상태로 천천히 변화한다. 그런데 떨어져 나온 분자들이
필름
아래 갇힐 경우에는 농도가 높아져 렌즈형태로 빠르게 자란다.나노수준의 표면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원자힘현미경(AFM)으로 확인한 결과 나노렌즈는 완벽한 구의 곡면에서 3%도 벗어나지 않아 표면이 불규칙한 ... ...
수학이 즐거워지는 마법퍼즐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벨트보다 훨씬 오래 사용할 수 있답니다. 이 외에도 양면에 모두 녹음이 되는 뫼비우스
필름
과 세탁기에 사용되는 셀프 클리닝 뫼비우스 필터 벨트가 있어요.수학시간에 퍼즐을 가르치는 이유가 있으신가요?초등학교 교과서 '문제 푸는 방법 찾기' 단원을 보면 '가로, 세로의 합이 같게 숫자를 넣어 ... ...
[핫이슈] 7월 22일 태양이 빛을 잃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검은색 태양관측용 필터를 구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그게 어렵다면 검게 현상된
필름
이나 CD, DVD처럼 거의 불투명하고 얇은 물건을 통해서 보면 좋다. 빛이 감소돼 태양의 윤곽 정도는 볼 수 있다. 선글라스는 빛을 어느 정도 감소시켜주긴 하지만 태양관측용으로는 역부족이다.망원경을 ... ...
아폴로의 달 착륙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벌집 모양의 알루미늄이고 외벽은 스테인레스 스틸에 알루미늄 포일처럼 생긴 마일라
필름
을 열 보호막용으로 코팅했다.특히 귀환하기 위해 초속 11km로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는 동안 2800°C까지 온도가 오르는 사령 모듈의 아랫면에는 벌집 모양의 플라스틱 셀 40만 개를 수작업으로 붙여 마찰열에서 ... ...
色이 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대한 색채학계의 대체적 평가는 가장 밝고 따뜻한 느낌이라는 데 모아진다. 세계적인
필름
회사 코닥 로고에 등장하는 노란색이 이 같은 느낌을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다. 가족, 친구와 추억의 흔적을 남기는 사진의 기능과 노란색의 이미지를 중첩시킨 전략의 결과라는 얘기다.10여 년 전 출시돼 ... ...
멤스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이뤄지는데 겉 상자는 작은 구멍을 뚫어 빛을 모으는 집광부의 역할을 하고, 속 상자에
필름
을 놓고 촬영한다. 초점거리는 속 상자를 앞뒤로 이동하면서 조정한다. 조리개가 없기 때문에 손으로 가리거나 적당한 마개를 사용해 노출 시간을 조절한다. 바늘구멍 사진기의 발명 : 고대 그리스의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