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림
감광막
영화
유제
네거티브필름
네거티브
내가티브
d라이브러리
"
필름
"(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썰렁홈즈의 만우절 가짜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되면,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 복사기와 스캐너에서 나오는 밝은 빛이 일시적으로 종이와
필름
을 노랗게 만들기 때문이다. 즉 색깔의 변화로 위조 여부를 알 수 있는 셈이다. 과학의 힘으로 열심히 가짜를 구별한 썰렁홈즈. 너무나 뿌듯한 마음에 세계탐정협회 회장에게 즉시 전화를 걸었다. 오잉~, ... ...
올림픽 기록 끌어올리는 스피도 'LZR 수영복'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급성 중독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주로 니스(페인트)나래커의 제조, 도료세척, 사진
필름
의 제조 등 작업현장에서 볼 수 있다기중농도(氣中濃度) 200~300ppm으로 특이한 강한 냄새가 나며 500ppm이 넘으면 눈 · 코 · 목에 자극이 생긴다 1,000ppm 이상에서는 두통 · 구토가 오고 더욱 농도가 높아지면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방사선은 어떤 종류의 금속이든 불투명한 물질을 투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방사선원과
필름
사이에 피사체를 두고 피사체에 따라 방사선원을 택해 그 내부구조를 사진찍을 수 있다여러가지 화학적 변화로 식품에 변질 또는 부패를 일으키는 미생물 · 효소 등을 사멸 또는 불활화시키는 처치 주로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장의 사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왜곡도 적고 별들이 빼곡이 들어찬 사진이 탄생한다.
필름
카메라로는 꿈도 못 꿀 일이지만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면 모자이크 사진을 쉽게 만들 수 있다.먼저 성도(별자리 지도)를 보면서 카메라 뷰파인더로 보이는 화각을 계산해 구도를 잡은 뒤 각 사진들이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21세 때 겐드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가르쳤다 1889년 미국의 초청을 받아 사진
필름
인화지 제조회사에서 2년 동안 연구했다 작은 온도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수은온도계 독일의 화학자 E O 베크만이 발명했다측정눈금판의 길이 약 30cm 부분에 5℃의 온도 간격이 새겨져 있다 따라서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히드로퀴논을 넣어 05mm 정도 두께로 칠하여 접착시켜 감광층을 만든다 네거티브
필름
을 밀착, 감광한 다음 현상액으로 씻어내고 건조시키면 미감광부가 용해되어 볼록판 인쇄용 볼록화상이 생긴다 내쇄력이 좋아 볼록판 윤전인쇄에 사용된다 대류권(對流圈)과 성층권(成層圈) 사이에서 적어도 한 ... ...
첨단과학 포장이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그린 작품은 오톨도톨 칠한 유화 물감이 떨어지기도 하죠. 이럴 땐 아교나 베바(Beva)라는
필름
형 접착제를 사용해 복원을 합니다. 얼룩이 생겼거나 물감색이 변했을 땐 그 원인을 찾아 전문가가 다양한 방법으로 복원을 하지요. 석상이 쨍그랑~ 깨졌다고요?이 예수상은 영국에서 19세기 초에 유리 ... ...
지웠다 쓰는 홀로그래피 나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저장된 3차원 영상정보를 재생하는 데 성공했다. 한편 영상을 지우려면 균일한 녹색빛을
필름
에 조사하기만 하면 된다.이번 연구에 대해 미국 조지아공대 조셉 페리 교수는 “이 기술로 저렴하고 가공하기 쉬운 고분자를 써서 업데이트가 가능한 3차원 영상을 구현했다”며 “입체영화나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때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감광도(感光度)가 ISO 200 이상의 사진촬영용
필름
사진촬영용
필름
의 감광도 표시방법은 독일의 DIN, 미국의 ASA 등으로 나라마다 달랐으나 최근 국제표준화 기구의 규격 ISO로 통일되었다n이 2 이상의 정수일 때 제 n차 도함수의 총칭 또한 f’(x)도 미분 가능이면 f’(x)의 ... ...
별빛보호지구에 남은 시간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짧아진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노출시간을 결정했으면 구도를 잡고 촬영을 시작한다.
필름
카메라의 경우 셔터를 열고 몇 시간이고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얘기가 달라진다. 노출시간이 늘어날수록, 또 감도가 높아질수록 사진에 나타나는 입자가 거칠어지기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