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 번째 질문 I 우리는 진정으로 무한을 아는가?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러셀(1872~1970)에 의해 수리철학의 토대가 마련되면서 점차 무한을 받아들였지요. 수
학자
들 사이에서도 무한의 정의에 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해요. 예를 들면 ‘자연수 집합과 실수 집합의 중간 크기인 무한 집합이 있을까’ 같은 질문을 하지요. ‘연속체 가설’이라고 알려진 문제인데요. ... ...
자연 덕후, 젊은 연구자 첫발 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4호
할지, 어떤 것에 흥미가 있는지 뚜렷하지 않은 청소년 시기에 지사탐 활동을 하며 생물
학자
라는 진로를 더 명확하게 굳힐 수 있었어요. 무엇보다 좋은 스승을 만난 점이 정말 값진 것 같아요. 지사탐에는 뛰어난 연구원이 많습니다. 현장 교육이나 캠프에 참여하면 곁에서 연구자들이 어떻게 말하고 ... ...
[특집] 기업이 만들어낸 가짜 과학, 청부과학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백도명 전 서울대 보건대 교수처럼 발벗고 나서서 피해자를 돕기 위해 노력한 과
학자
도 있었기 때문이다. 청부과학을 넘어 ‘피해자 중심 과학’을 추구하자는 것이다. “청부과학은 과학이 다양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실례입니다. 과학 지식의 생산이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목적에 ...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너머 깜깜한 공간을 향한 인류의 오랜 호기심은 망원경의 역사에 드러난다. 1610년 천문
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처음 목성의 위성 네 개를 발견한 후, 400년 동안 천체 관측용 지상 망원경의 지름은 점점 커졌다. 거울이나 접시 안테나의 지름이 클수록 많은 빛을 모아 천체를 더 자세히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유인원들이 죽음을 마주하는 방법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그들의 죽음과 죽음에 대한 반응을 모두 관찰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영장류
학자
들이 놓치는 수많은 순간에 영장류의 행동이 숨어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된 죽음에 대한 그들의 반응은 양상이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침팬지나 일부 원숭이들처럼 연구가 특정 종에 편중된 ... ...
한 편의 기사가 수리생물
학자
로 안내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었는데, 2006년에 기사 하나를 보고서 수리생물
학자
가 돼야겠다고 결심했어요. ‘미국에서 수학을 이용해 심장질환을 연구한다’는 내용의 기사였는데요. 충격적이었어요. 학부 때 수학 공부를 꽤 열심히 했다고 생각했거든요. 근데 제가 전혀 모르는 수학 분야였어요. ... ...
[ReThinking] 제3화 무한은 수학을 어떻게 어떻게 바꿨을까?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우리는 무한을 제대로 알고 있을까? 수
학자
는 무한의 수학적 정의에 관해, 인문
학자
는 무한의 역사와 실재에 관한 철학적 사유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ReThinking] 제3화 무한은 수학을 어떻게 어떻게 바꿨을까? 첫 번째 질문 I 인류는 무한을 어떻게 떠올리게 ... ...
두 번째 질문 I 수학에선 무한을 어떻게 정의할까?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수
학자
는 무한급수를 이용해 무한을 다룹니다. 다른 예시를 하나 더 들어볼게요. 수
학자
가 하는 일 중 하나는 증명이잖아요. ‘1부터 n까지 자연수의 합은 언제나 n(n+1) /2 이다’라는 명제를 증명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이 명제가 참이려면 n이 어떤 수이건 모두 참이어야 해요. 이러한 명제를 ... ...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3화. 성공에 더 필요한 건 운일까 재능일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그들의 마음에 들지 않았다는 건 아니다. “이그노벨상은 평소에는 알리기 힘든 과
학자
들의 연구 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저희 연구도 수상을 통해서 전 세계에 알려질 수 있었어요.” 이그노벨상은 아마도 재능과 성공에 관해 다시 생각해보게 만든 이 연구의 의외성을 ... ...
[이달의 뉴스] 투우사 벌레의 화려한 다리 깃 수수께끼를 풀어라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동물이 화려한 장식을 가지려면 명분이 있어야 한다. 생존이나 번식의 필수 요소가 아니라면 포식자의 먹이감이 될 확률을 높일 뿐이다. 과학 ... 있죠. 이번 연구에서 우리들 6마리 중 1마리는 뒷다리가 없었다고 하네요. 미래의 곤충
학자
들이 이 비밀을 캐기 위해 또 우리를 찾지 않을까요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