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동키즈] 삼국지 매니아가 철도 계획가로… “저는 성덕입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교통 인프라와 관련한 의사결정 과정에는 교통계획가의 효율적인 공간 분석과 교통경제
학자
의 합리적인 비용편익 계산이 모두 녹아있음을 독자 여러분들이 기억해주면 좋겠다 ... ...
[기획] 78만 년 전의 발견 구워라! 그러면 맛있어 지리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먹으니 뇌를 쓸 시간이 많아졌다! 작년 11월,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교의 고고
학자
이리트 조하르 박사팀은 고대 인류가 78만 년 전부터 불을 사용해 요리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17만 년 전의 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의 요리 흔적보다 약 60만 년이나 앞선 요리의 증거가 발견된 ... ...
[특집] 수학계가 주목한 이유는?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좋은 학술지에 게재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수학계가 주목한 이유는? 수
학자
가 논문을 발표하는 건 지극히 일상적인 일. 그런데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여기에 주목하고 있는 걸까? 이유 ❶ 란다우-지겔 영점 문제의 중요성 란다우-지겔 영점이 있다면 소수 패턴을 탐구하는 ... ...
[러셀 탐구생활] 제1장, 러셀을 사랑한 이유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터질 것 같습니다) 등을 주제로 살짝 이야기해 보는 것이죠. 물론 저는 이제야 막
학자
로서의 발을 뗀 일개 학부생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제 마음 깊숙이 타오르는 학문적 열정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있고, 어떻게든 그 열정이 가리키는 곳을 향해 나아가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교환학생도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옮기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양자역학적 순간이동 특집을 준비하며 기자가 만난 과
학자
들도 입을 모아 “양자전송은 원칙적으로 순간이동과 다르다”고 단언했다. 안건우 독자위원은 “양자역학은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니, 이번 기회에 과학동아에서 잘 알려주면 좋겠다”고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공룡 화석 발굴 게임을 해봤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이 게임, 확실히 고생물학 애호가들의 로망을 자극하지 않나요? 뿐만아니라 고생물
학자
의 땀과 노력도 알 수 있으니 유익하군요. 예상외로 게임을 즐겼다는 윤 연구원에게 마지막 질문을 던졌습니다. 앞으로도 이 게임 계속 하실 건가요? “음, 연구실에서 돌 깨다가 집에 와서 게임으로 또 돌 깨고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일부일처제의 가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이름은 생소한 독자들이 있을 것이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영장류
학자
들 사이에서도 야생 긴팔원숭이는 다른 영장류 종에 비해 많이 연구되지 않았다. 그런 긴팔원숭이에 흥미를 가지게 된 건, 그들이 인간과 진화적으로 가까운 유인원이었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인간과 DNA 서열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기준으로 미래를 상상합니다. 당연히 암울한 미래가 그려지기 쉽지요. 하지만 인구
학자
가 그리는 정해진 미래는 항상 틀려왔습니다. 우리도 미래가 바뀔 수 있도록 변화할 사회의 모습을 고민해야 합니다. 저는 늦지 않았다고 봅니다 ... ...
[DATA MATH] DART 팀 구성원과 수
학자
의 역할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암석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고 있는데 그 연구도 잘 했으면 좋겠어요. 수
학자
인 남편과도 SNS 마케팅에 대한 수학적 모형화 연구를 하고 있어요. 응용수학은 굉장히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저는 새로운 것들을 굉장히 좋아하기 때문에 이 연구 이외에도 계속 새로운 연구를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바란다. 지금까지 그 답을 찾은 사람은 아무도 없으니까.”이 말을 한 사람은 미국의 물리
학자
리처드 파인만입니다. 파인만은 양자전기역학을 정립하고 양자 컴퓨터의 등장을 예견하는 등 양자역학의 한 획을 그었죠. 노벨 물리학상도 받았고요. 그런 그가 양자역학을 이해할 수 없을 거라고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