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근소
조금
마이크
미소한
초미니
뉴스
"
미량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충전속도 100배 빠른 이차전지 나온다
2015.08.12
성공했다. - 포항가속기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리튬망간인산에 전체질량의 1%에 해당하는
미량
의 은 나노입자를 첨가한 형태의 소자를 개발했다. 전기전도도가 매우 낮은 리튬망간인산 결정들 사이에 전기전도도가 가장 높은 금속 중에 하나인 은 나노입자를 합성하자 리튬이온의 이동이 용이해지며 ... ...
핵실험 흔적, 우리가 직접 찾아낸다
2015.07.08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사찰 시료에 포함된 1조 분의 1그램(g) 수준인 극
미량
의 핵물질을 입자 수준까지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핵무기 개발 의혹이 있는 국가나 핵확산금지조약(NPT)에 가입된 국가의 원자력 ... ...
전기요금 절약할 수 있는 기초원리 나왔다
2015.06.24
GIST) 제공 전자제품은 전원을 꺼도 코드를 꽂아두는 한
미량
의 전기가 계속 흐른다. 흔히 ‘누설전류’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전기료를 높이는 원인이기도 하다. 국내 연구진이 이런 누설전류를 줄일 수 있는 원리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김봉중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사진 ... ...
일본 ‘세슘 검출 시 검사증명서 요구’한 한국, WTO에 제소
동아닷컴
l
2015.05.22
주변 8개현의 모든 수산물에 대한 수입을 금지한 바 있으며 일본산 수산물에서 세슘이
미량
이라도 검출되면 플루토늄 등 기타핵종에 대한 검사증명서를 추가로 요구하고 나섰다. 식품에 대한 방사성 세슘 기준은 kg당 370바크렐(Bq)에서 100Bq로 완화했다. 정부 관계자는 “향후 일본과 협의절차를 ... ...
셜록도 혹한 ‘미생물 포렌식’을 아시나요?
2015.05.15
범인이 낸 수수께끼를 풀 수 있었을까. 최근 과학자들은 증거물에서 발견되는 꽃가루나
미량
의 화학물질 외에도 미생물이 결정적인 단서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 미생물 추적해 동선 파악 사이먼 랙스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ANL) 연구원은 신발 밑창과 휴대전화에 묻은 미생물을 ... ...
[Health&Beauty]“이상한 냄새 날까 걱정”… ‘변실금’ 수술없이 치유하자
동아일보
l
2015.05.13
많이 쓰인다. 이 수술은 괄약근과 골반저근육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천골신경에
미량
의 전기 자극을 주는 수술법이다. 국내에서도 신의료 기술로 승인을 받았고 경희대병원에서 처음으로 수술이 이루어졌다. 천수신경조절술은 이식형 의료기기를 환자 체내에 이식한다. 입원 없이 곧바로 ... ...
나노기술에 1772억 원 투자 ‘나노기술 산업화 전략’ 발표
2015.04.30
사물이나 생체 등 원하는 표면 위에 부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3차원 나노전자소자,
미량
의 유해 성분을 분자수준에서 검출할 수 있는 식품안전 나노센서 등이 포함됐다. 전문가 매칭 지원을 통해 우수기술 사업화를 촉진하고, 시제품 제작, 수요처 발굴 등을 도와 2020년까지 100여개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먹이를 찾을 때 적극 활용한다고 한다. 모래에 부리를 박아 모래 알갱이 사이에 있는 극
미량
의 물로 압력파를 발생시키는데, 먹잇감이 있는 경우 압력파에 교란이 생기면서 탐지가 가능하다. 귀가 특히 밝은 새들도 있다. 야행성인 올빼미는 귓구멍이 한쪽은 눈 아래, 한쪽은 눈 위에 비대칭적으로 ... ...
‘친환경’ ‘유기농’ 인증 제품,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2015.03.08
공간에서 사용하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테르펜이 실내 가구와 건축자제에서
미량
으로 발생하는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물질이라고 해도 이를 어디에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지는 셈이다. 스테인만 교수는 “일상에서 사용하는 제품이 ... ...
이름은 들어봤나? ‘핫 전자’라고
2015.02.15
가진 전자인 ‘핫 전자’가 발생한다. 이렇게 생겨난 핫 전자 때문에 금속 표면에는
미량
의 전류가 발생하지만 핫 전자가 수 펨토초(1펨토초는 1000조 분의 1초)만에 흩어져 사라져버리기 때문에 핫 전자에 의한 전류를 검출하는 일은 매우 까다로웠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