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근소
조금
마이크
미소한
초미니
뉴스
"
미량
"(으)로 총 279건 검색되었습니다.
제논 없는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2014.07.21
지구 대기 중 제논의 농도는 0.087ppm으로 매우 낮다. 제논은 화성 대기에서도 아주 극
미량
만이 존재한다. 그런데 태양계에서 이렇게 제논의 농도가 낮은 행성은 지구와 화성뿐이다. 목성을 포함한 다른 행성들의 대기는 지구나 화성보다 최소 20배 이상의 제논을 가지고 있다. 학계에서는 행성과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액체이지만 끓는점이 58.8도이기 때문에 쉽게 휘발된다. 따라서 화학반응 중에 생긴
미량
의 브롬 가스를 지속적으로 흡입할 경우(농도가 짙을 경우 오렌지색 증기에 염소가 연상되는(수영장 소독약) 냄새로 알 수 있다) 자신도 모르게 생식계가 서서히 손상될 수 있다. 물론 요즘 화학실험실은 ... ...
‘땀구멍 지도’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4.04.30
지워진 경우도 있어 한계로 지적돼 왔다. 연구진은 손가락 끝 땀샘에서 나오는
미량
의 수분을 감지하고 이를 이미지화해서 땀구멍 지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수분을 감지하는 용도로 개발된 고분자 물질은 원래 청색을 띠는데 매우 적은 양의 수분에도 반응해 적색으로 바뀌면서 형광을 ... ...
“국내 유통 식품에서 발암물질 걱정없다”
과학동아
l
2014.03.24
없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벤젠이 검출된 14건(3%)에서도 0.002~0.028 ppm 수준의 극
미량
이 검출됐다. 음료 중 벤젠 검출된 2건도 0.005 ppm 수준으로, 미국, 일본, 벨기에 등 다른 국가의 식품관리와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식품 섭취에 따른 ... ...
겨울철 식중독 원인 노로바이러스, 싸고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1
이번에 개발한 렉틴 단백질 키트는 감염 환자의 분비물뿐만 아니라 음식물에 섞인
미량
의 바이러스까지 찾아낼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하다. 더군다나 작두콩은 대량재배 할 수 있어 기존 키트의 10분의 1 정도의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연구진은 렉틴 단백질의 ... ...
광우병 유발 단백질이 기억의 핵심물질이라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12
밝혀져 주목받고 있다. 미국 스토워즈의학연구소 카우시크 사이 교수팀은 뇌 속에 극
미량
존재하는 프리온 유사 단백질 ‘Orb2’가 다른 단백질과 짝을 이루거나 분리되는 방식으로 활성화 정도가 조절되며 적재적소에 신경세포를 자극해 장기기억능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 ...
우리의 밥상은 과연 안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7
0.01 베크렐 정도로, 전 세계 바다 평균인 단위면적당 2베크렐의 200분의 1 수준으로 극히
미량
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0.01 베크렐 수준이라면 방사성 물질이 물고기 체내에 축적되더라도 안전한 수준이며, 잘못해서 섭취했다고 하더라도 저절로 대사될 수 있기 때문에 우려할 정도가 ... ...
암세포 직접 방문해 파괴하는 박테리아 나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3.12.16
아래쪽이 암세포를을 찾아 이동하는 박테리아다. - Scientific Reports 제공 국내 연구진이
미량
의 조기 암세포도 찾아가 약물을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암을 치료할 수 있는 나노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박종오 전남대 기계공학부 교수팀은 박테리아를 이용한 의료용 나노 로봇, ... ...
탄저균 테러? '이것'만 있으면 걱정 끝!
동아사이언스
l
2013.10.09
양성 교수와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제임스 히스 교수 공동 연구팀은 탄저균을 초기에 극
미량
으로도 검출할 수 있는 센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고, 그 결과를 나노분야 국제학술지 ‘ACS 나노’ 온라인판 9월 2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이 새로 개발한 탄저균 센서는 탄저균에 감염됐을 때 ... ...
햇빛을 이용해 청정에너지 뽑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5
낮았다. 연구팀은 나노 합성 기술을 이용해 독특한 모양의 산화철을 만들고 여기에
미량
의 백금을 추가했다. 또 코발트 포스페이트를 보조 촉매로 이용해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켜 태양광의 수소 전환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이재성 교수는 “태양광 촉매를 이용해 수소를 얻는 기술을 ... ...
이전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