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본
대본
영화각본
콘티
영화 각본
scenario
영화
스페셜
"
시나리오
"(으)로 총 29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질량에 이른 백색왜성이 중력수축을 하다 폭발한 게 1형 초신성이지만 사실 다른
시나리오
도 있다. 즉 근접쌍성계의 두 별의 질량이 비슷해 비슷한 시기에 둘 다 백색왜성이 될 경우 그 어느 쪽도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유입을 기대할 수 없다. 그런데 둘 사이의 거리가 아주 가까울 경우 서로 나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그런 경우다. 앞에 언급했듯이 30만 년 전 호모 날레디가 현생인류와 공존했을 거라는
시나리오
는 당시 호모 사피엔스가 살고 있었다는 말이지만 이전까지는 동아프리카 에티오피아에서 발굴된 20만 년 전 호모 사피엔스 화석이 가장 오래된 것이었다. 따라서 호모 사피엔스의 ‘공식적인’ 역사는 2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빼앗기고 따라서 수면부족에 시달리게 됐다는 기존의 도식은 학자의 머릿속에서 나온
시나리오
였다. 네덜란드의 화가 헤리트 반 혼트호르스트의 1621년 작품 ‘벼룩 사냥’. 당시 사람들은 벼룩과 빈대 같은 기생충으로 숙면을 방해받는 경우가 잦았다. 책에 따르면 산업혁명 이전 사람들 대다수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섞인 것으로 나오면서 현생인류의 이동
시나리오
와도 맞아떨어지자 반대 진영에서 더 이상 할 말이 없어진 것이다. 새끼손가락 뼈 한 마디에서 추출한 DNA에서 고품질의 게놈이 해독돼 수만 년 전 아시아에 데니소바인이라는 미지의 인류가 살았다는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
2017.03.12
못하도록 막거나 다른 사람을 보낼 것인가라는 질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시나리오
말고 실제로 한 여성 참가자(실제로는 실험자의 조력자)의 ‘상사’가 되어 함께 일하는 상황(채팅으로 여러 평범한 문장들 및 성희롱 문장들 중 몇 개를 골라 여성에게 외우도록 시킴)에서는 이들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장치 보호 시스템'이 필요하다. 빔으로 손상을 입기 전에 각 장치가 신호를 읽어 보호
시나리오
대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3가지 도전적 과제를 수행할 것"이라며 "통합제어시스템의 성능 검증, 타이밍 시스템의 자체 개발(국산화), 장치 보호 시스템(MPS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그는 "노화시스템의 경우, 분자들의 상호작용 구조조차 밝혀진 바가 없어, 여러 가상
시나리오
를 만든 뒤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실제 데이터와 비교해 가장 잘 맞는 구조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그는 식물과 동물의 노화를 종합해 인간의 건강에 기여하는 것이 앞으로의 연구 목표라고 말했다. 그간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
2016.11.01
삼형제 ‘네이처’ 10월 27일자에는 아타카마전파망원경(ALMA)으로 별 형성의 두 번째
시나리오
를 관측하는데 성공했다는 논문이 실렸다. 2013년 완공된 ALMA는 칠레 북부 해발 5000미터 차얀토 고원에 설치된 세계 최대 규모의 전파망원경으로 지름 12미터인 안테나 54개와 7미터인 안테나 12개로 이뤄져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수는 없지만 이 인류의 키도 1미터 남짓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들이 생각하는
시나리오
는 이렇다. 대략 100만 년 전 아시아에 진출한 호모 에렉투스 무리 가운데 일부가 플로레스섬에 들어와 고립됐다. 천적이 없는 대신 먹을 것도 부족한 작은 섬에 고립될 경우 몸집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유전자의 첫 번째 인트론에 전이성 인자가 끼어들어가면서 검은색 변이체가 등장했다는
시나리오
를 내놓았다. 즉 19세기 초에 우연히 나타난 변이체가 마침 극심해지고 있던 오염으로 생존에 유리해지면서 기존의 밝은 색 나방을 대체해나갔다는 것이다. 전이성 인자(transposable element)는 게놈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