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본
대본
영화각본
콘티
영화 각본
scenario
영화
스페셜
"
시나리오
"(으)로 총 2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확보하기 위해 전투를 준비했고 이 과정에서 유럽 각지의 용병을 고용했을지도 모른다는
시나리오
다. 톨렌제 계곡 유적은 오늘날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오래 전부터 인류가 조직적으로 대규모의 전투를 수행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어쩌면 한반도에서도 일찌감치 필자가 추측하는 수준 ... ...
남성이 여성보다 성적인 생각을 더 많이 할까?
2016.04.12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관념도 꽤 도전 받고 있다고 한다. 저자들의 한 실험에서 가상의
시나리오
를 가지고 위의 실험을 다시 시도해봤다고 한다. 역시 남성이 여성보다 좀 더 쉽게 OK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그런데 흥미롭게도 파트너의 매력도나 친밀함을 고려하면 이 차이가 적어졌다고 한다. 즉,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관계해 남아를 임신했을 경우 자연유산이 되거나 생식력이 없는 개체를 낳았을 것이라는
시나리오
를 제시했다. 즉 게놈을 비교한 결과 네안데르탈인의 Y염색체에 있는 유전자 가운데 세 개는 현생인류와 아미노산 서열이 다르고 하나는 아예 고장이 난 상태로 밝혀졌다. 그런데 앞의 세 유전자가 ... ...
하루 소주 몇 잔이 몸에 이로운 까닭
2015.11.09
스트레스를 주면 몸의 대항력이 높아져 미량의 팝스로 인한 질병도 예방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
다. 그렇다면 안전한 스트레스를 통한 호메시스 활성화 방법은 무엇일까. ● 하루 소주 서너 잔이 뇌졸중 예방한다? 지난주 미디어들은 특이한 건강뉴스를 보도해 화제가 됐다. 서울대 배희준 ... ...
신재생에너지를 위한 정책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050 보고서’의 2050년까지 지구표면의 평균온도가 섭씨 2도 상승할 때의 에너지전망
시나리오
에서는 2050년에 신재생에너지가 60% 수준으로 화석에너지 40%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예상됐다. 신재생에너지는 ‘신 에너지’와 ‘재생 에너지’의 합성어로 시대에 따라 조금씩 정의가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걸쳐 퇴적물이 쌓여있는 동굴이기 때문인데, 그러다보니 화석의 시대에 따라 나오는
시나리오
가 제각각이다. 먼저 모자이크인 형태로 봤을 때 유력해 보이는 건 호모 날레디가 초기 호모속, 즉 200만 년 이상 거슬러 올라갈 것이라는 주장이다. 즉 동아프리카에서 호모 하빌리스가 살고 있을 때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노폐물이 정맥주변공간을 따라 목으로 이동해 림프관으로 넘어간다는 2013년 논문의
시나리오
보다 그럴듯해 보인다. ● 제3 순환계, 기능을 확실히 밝혀야 글을 쓰다가 문득 ‘그런데 봉한관 연구는 어떻게 됐을까?’하는 의문이 들었다. 아직 주류 의학계의 인정을 받은 것 같지는 않지만 ... ...
기후변화로 수몰위기에 처한 섬나라들의 대책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04
집중 강우, 사이클론에 의한 높은 파도처럼 복합적인 위협에 노출돼 있다. 재난 위험
시나리오
에 따르면, 지구상에서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국가 중 하나로 몰디브를 꼽고 있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몰디브는 ‘기후완화를 위한 청정에너지사업(Clean Energy for Climate Mitigation)’을 펼치고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우려하는 상황은 동물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인간바이러스로 바뀌는 최악의
시나리오
다. 즉 메르스바이러스가 사람에서도 높은 전파력을 띠게 된다면 사태가 걷잡을 수 없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그럴 가능성이 높아보이지는 않는다. 세포생물들은 게놈이 DNA이중가닥으로 이뤄져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진핵생물의 공통조상) 그 뒤 세포내공생 등 진핵세포로 가는 진화가 이어졌다는
시나리오
가 설득력을 얻게 됐다. - 네이처 제공 보통 세포를 물이 들어 있는 풍선에 비유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나노미터 굵기의 바늘로 콕 찔러도 퍽 하고 터지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원핵생물은 단단한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