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앞으로 밝혀나가야 한다.박 교수는 우주의 급팽창 원리를 연구하고 있다. 우주 성분의 약 68.3%가 암흑에너지이고, 암흑에너지 형태의 에너지가 있어 우주가 가속팽창하기 시작했다는 건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암흑에너지의 양이 왜 이렇게 많은지는 아직 아무도 모른다. 심지어 이론가들의 ... ...
- 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학자의 추측은 영원히 미궁으로 남을 듯 했다. 한 세대 후 나타난 반격그런데 약 100년 뒤 1732년, 누군가 무덤 속에서 평온하게 잠자고 있던 페르마를 끄집어낸다. 옆 동네 스위스에서 태어난 레온하르트 오일러다. 오일러는 함수의 기호 f (x)를 처음으로 사용한 수학자로, 본인의 이름을 딴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 가운데 연간 1000여 구의 유해를 발굴한다고 할 때 이 추세로는 130년이 걸린다. 게다가 약 1% 수준인 신원 확인 성공률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10만 여 구의 유해를 보관할 거대한 시설이 필요하다는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정 책임연구원은 “동위원소 분석은 기술적인 분석과 역사적 사료나 증언을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탐지해 원활하고 쾌적한 게임 환경을 만들었다. 지금까지 인공지능의 적중률은 약 99%에 이른다. ‘서든어택’ 등 FPS에서는 여러 유저들이 한 유저를 월핵 사용자로 의심된다고 신고하면, 이미지를 구분하는 딥러닝(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기반 인공지능이 해당 유저의 데이터를 이용해 ... ...
- [Issue] 한국판 셜록홈즈 나오나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경호했던 앨런 핑커톤(위 사진)이 1850년 설립한 회사로, 직원 5000여 명에 연간 매출 약 2673억 원에 이르는 대기업이다.김 사무총장은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경제 잡지인) ‘포춘’에 이름을 올리는 대기업들은 대부분 핑커톤과 같은 탐정회사와 협력 관계”라며 “탐정회사는 사내 감사 업무나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위치한 서울시립과학관에서 ‘지구를 위한 과학’정기강좌 5강이 열렸어요. 이번 주제는 약 6500만 년 전 멸종해 우리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공룡’이에요. 과학자들은 현재 화석만 남아 있는 공룡의 모습을 어떻게 알아내는 걸까요? 강연장에서 직접 그 답을 찾아보세요. 과거에 복원한 ... ...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탁월한 능력을 갖춘 제로스는 현재 전북 고창, 군산 등의 국내 바다를 누비며 맹활약하고 있답니다. # 군집로봇이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는 걸 알겠지? 로봇 하나만 봤을 땐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우리가 모이면 슈퍼 로봇과 같은 일을 해낼 수 있다고! 앞으로도 군집로봇의 발전을 ... ...
- [과학뉴스] 태양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용해 시뮬레이션한 결과 태양이 가스를 방출하는 속도가 기존 모델로 예측한 값보다 약 3배 빨랐다. 이는 태양처럼 질량이 작은 별도 행성상 성운을 형성하기 쉽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희미하지만 관측할 수 있는 행성상 성운을 형성하는 가장 작은 질량의 별이 태양일 것으로 추정했다. ... ...
- [과학뉴스] 피부에 바로 인쇄하는 3D 프린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연구팀은 400달러(약 43만 원)가 안 되는 저렴한 3D프린터를 개조했다. 기존 3D프린터는 약 100도에서 잉크를 사용해야 하는데, 개조한 3D프린터는 상온에서 전도할 수 있는 ‘실버 플레이크(silver flakes)’로 만든 특수 잉크를 사용한다. 피부에 바로 닿아도 화상 위험이 없다는 얘기다. 개조한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뜨겁게 만들어 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2012~2015년 포항 지역에서 지하 약 4.5km에 두 개의 시추공을 건설했다. 한 개의 시추공(주입정)을 통해 물을 주입한 뒤 주입된 물이 다른 하나의 시추공으로 흘러가는 과정에서 주위의 지열을 흡수해 뜨거워지면, 뜨거워진 물을 다른 시추공 ... ...
이전2662672682692702712722732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