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남아있는 가장 거대한 피라미드는 이집트 제4왕조의 왕인 쿠푸의 피라미드다. 현재는 약 138m만 남아있지만, 원래 높이는 146.7m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이 정도만 되도 상당한 높이로, 사람이 피라미드 앞에 서면 작은 개미처럼 보인다. 사실 아직 초고층건물에 대한 세계 공통 기준은 없다. 보통 ... ...
- 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어떤 두께와 강도로 할지 최적화하는 문제를 해결해야 했는데, 결과적으로 기존 재료를 약 18% 줄인 최적의 대안을 도출해냈다. 러시아 모스크바 시티 가든의 기둥 구조를 설계하는 프로젝트에도 쓰였다. 김 교수는 “그동안 해외 기술에 의존했던 자유로운 모양의 초고층건물 설계 기술을 국내 ... ...
- Part 2. 2의 저주?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n=4이므로 오일러의 추측이 성립하지 않는다. 파킨와 렌더는 논문에 단 2문장만 적어 약 200년 간 묵혀있던 오일러 추측을 반증한다. 파킨과 렌더의 첫 반례가 나온 이후 k=5, n=4인 반례가 몇 차례 더 나오며, 오일러 추측은 완전히 뭉개져 버린다. 1986년에는 미국 수학자 노암 엘키스가 k=4일 때 ... ...
- [과학뉴스] 남극 대륙 빙붕, 60년 만에 18% 얇아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네이처’ 6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1950년대 이후 남극 대륙에서 약 3만 4000km2 면적에 해당하는 빙붕이 사라졌다. 또 남극 대륙 서쪽지역에서는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얼음이 줄어들었고, 그 결과 아문센 해역과 벨링스하우젠 해역의 빙붕이 1990년대 초반보다 18%가량 얇아진 ... ...
- [과학뉴스] 월드컵 우승국은 스페인? AI 예상 결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각국의 국제축구연맹(FIFA) 순위, 선수들의 평균 나이, 이전 챔피언스 리그 시즌의 선수 활약 등 팀의 경기능력과 선수 개개인의 능력에 대한 다량의 정보를 정리했다. 이후, 10만 회에 이르는 축구 경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경우의 수를 따졌다. 팀 별로 각 라운드에서 생존할 확률은 물론, 가장 ... ...
- [과학뉴스] 호박 속에 갇힌 개구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블랙번 미국 플로리다자연사박물관 학예사팀은 미얀마 북부에서 발견된 호박 속에서 약 1억 년 전 열대림에 살았던 멸종 개구리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6월 14일자에 발표했다. 호박 안에 갇힌 개구리는 9800만 년 전 열대림에서 서식했던 종(Electrorana limoae)으로, 정체를 알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따르면 전국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7301.5t(톤)이다. 이는 전체 폐기물의 약 13.6%로 종이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하지만 폐플라스틱은 수익성이 낮아 업체들이 수거를 꺼리고 있다. 플라스틱 대부분이 분해가 어려워 재활용에 많은 돈이 들기 때문이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분해와 조립이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들지 않을 정도로 비슷한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서다. 가령 중력가속도는 지구에서 약 9.8m/s²이지만 게임 엔진에서는 편의상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테면 현실에서는 물체가 떨어질 때 중력의 영향과 함께 공기저항을 받지만, ‘마영전’ 세계에서는 공기저항이 없다. 물체의 밀도마다 ... ...
- [Issue] 빅데이터 하나로 미래 도시 탈바꿈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보인다.신기술에는 항상 부작용이 따른다. 빅데이터 산업은 사생활 침해 우려 등으로 제약이 많다. 하지만 중국은 ‘신기술의 시험장’이라는 명성답게 빅데이터 산업에서도 과감히 시도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실제로 구이저우성에서는 빅데이터를 의료 산업 분야에 적용해 병원에 방문하기 ... ...
- [Culture] 얼음결정과 유지방의 ‘밀당’ 아이스크림&셔벗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수분(약 55%)의 비중이 더 높아 부드러운 질감을 줍니다. 만약 이 아이스크림을 영하 약 40도의 아이스크림 전용 냉동고에서 얼리면 수분의 동결률이 90%까지 높아지므로 치즈처럼 단단해집니다. 한편 액체질소를 이용해 영하 176도 정도에서 아이스크림을 만들면 벨벳처럼 부드러운 셔벗 형태가 ... ...
이전2642652662672682692702712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