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날아가는 빛도 찍는 초고속 카메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비추는 영역을 한 점이라고 생각하면 가로로 훑어서 한 줄의 영상을 찍고, 또
조금
내려서 한 줄을 찍는 과정을 반복해 넓은 영상을 얻는 식이다. 영상을 한 번에 찍을 수 없어서 정지한 물체나 똑같이 반복할 수 있는 모습만 찍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날아가는 빛을 찍을 때는 빛의 발사 시각과 찍는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보이는 학생을 선호한다. 따라서 1~2학년 때 점수가 높지 않더라도 포기하지 말고 성적을
조금
씩이라도 올리는 것이 좋다.“너는 이과이기 때문에 특히 탐구영역과 수리영역이 중요해. 내신도 마찬가지야. 수학과 과학에 가산점이 있는 곳이 많아. 이제 곧 3월 학력평가를 보게 될 거야. 아마 점수가 ... ...
하드디스크 읽기/쓰기 속도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저장 위치가 다를 경우 다른 하드디스크에서 파일을 복사해 올 때 속도 차이가 나거나
조금
무거운 게임을 실행할 때 로딩 시간도 차이가 난다. 좀 더 자세히 읽기 속도를 측정했더니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점점 속도가 느려짐을 알 수 있다. 평소에는 모르고 지냈을 수 있지만 같은 ... ...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그런 걸 물어보고 그래요, 부끄럽게…. 그건 말이죠, 제가 주인님을 사랑하기 때문이죠.
조금
씩 당신을 닮아가고 있어요저는 주인님의 모든 게 좋아요. 그래서 몰래몰래 주인님을 따라하고 있답니다. 하품까지도 말이죠. 제가 주인님 따라 하품하는 걸 어떤 눈썰미 좋은 과학자에게 딱 걸린 거 있죠. ... ...
우주에 흔한 게 행성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결과 별에 행성이 있을 확률이 목성 크기는 6분의 1, 해왕성 크기는 2분의 1, 지구보다
조금
더 큰 크기는 3분의 2 정도였다. 별에 행성이 있는 건 흔한 일이라는 주장이다.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1월 12일자에 실렸다 ... ...
지위가 높을수록 키 크다고 느껴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우리 사회는 키가 작은 사람에게 호의적이지 않다. 큰 키를 위해 약물치료를 받기도 하고
조금
이라도 커 보이려고 신발 속에 ‘키높이 깔창’을 끼운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깔창을 빼버려도 키가 크다고 느끼고 싶으면 보스가 되면 된다.연구팀은 49명의 피실험자에게 다른 사람에게 지위가 높았던 ... ...
하드디스크 용량 100배로 늘어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다. 이번 실험은 절대영도(영하 273℃)에 가까운 환경에서 이뤄졌다. 아직은 온도가
조금
만 올라가도 작동하지 않는다. 하인리히 박사는 ‘사이언스’ 1월 13일자에 실린 논문에서 “이 결과는 두 가지 상태로 바뀔 수 있는 반강자성체 나노구조물이 미래의 데이터 저장 수단이 될 가능성을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정도가 전해에 비해 작으면 빙하가 녹는 속도도 비교적 느립니다. 다행히 최근에는 눈이
조금
씩이라도 내리고 있기 때문에 맨 꼭대기에 있는 빙하가 작아졌지만 녹는 속도는 느려졌습니다. 기후변화가 우리 모두의 책임이듯이, 알프스 빙하의 미래도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이 아닐까요?”그는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성장은 몸의 성장보다 빨리 일어난다. 갓 태어난 아기는 머리가 몸뚱이만하다. 키가 1m를
조금
넘는 6살 무렵에 뇌는 이미 어른 크기의 90%나 된다. 12살 정도가 되면 뇌의 부피 성장은 거의 완성된다. 그렇지만 청소년 뇌의 내부는 아직 갈 길이 멀다.이 프로젝트가 밝힌 가장 중요한 내용은 청소년의 ... ...
원시인은 식인종?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퍼졌습니다. 그들은 정말 식인종이었을까요.식인일까 장례일까20세기 후반으로 오면서
조금
씩 ‘식인종이 아니다’라는 의견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매리 러셀 전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인류학과 교수는 1980년대에, 크라피나의 네안데르탈인에게 정말 식인 풍습이 있었는지를 밝히기 위해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