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망원경의 시야를 벗어나기 때문에 흡사 시야에 연한 커텐이 쳐진 듯한 느낌이 은하의
표면
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줄 뿐이다. 안드로메다은하를 망원경으로 볼 때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안드로메다의 두 위성은하다. 이중 M32는 매우 밝아서 잘 보이는데, 크기가 작아 초보자들은 별과 ... ...
2 진품 그림 한장으로 가짜 두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그 위에 그림을 그리고 유약을 새로 바른 뒤 다시 가마에 굽는 방식이다. 그러고 나서
표면
에 적당히 상처를 입히고 때를 묻혀 오랜 세월이 흐른 것처럼 꾸민다. 이 경우, 도자기 전문가들의 눈에는 가짜임이 쉽게 드러나지만 일반인들로서는 구분하기가 어려워 사기에 말려들게 된다.지금까지 ... ...
4 광촉매로 에너지 추가 없이 수소 생산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가져오겠다는 아이디어다.
표면
온도가 약 6천℃인 태양으로부터 내리쬐는 에너지는 지
표면
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대기중의 산소와 질소, 오존 등의 기체에 흡수되면서 1m2당 약 1천W의 에너지밀도로 도달한다. 지구로 날아오는 햇빛을 1시간 동안 100% 모으면 인류가 1년간 쓰고도 남을 정도로 막대하다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움직임은 많이 연구돼 왔지만
표면
장력이 지배하는 세계는 완전히 이해되지 못했다.
표면
장력이 지배하는 세계는 아직 과학자들의 미개척지로 남아있다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붙는 색소포근(色素胞筋)을 수축 또는 이완시켜 동물의 체색을 변화시킨다물체의
표면
색(表面色)에서 공통으로 지각되는 색상 · 명도 · 채도 등 세 가지의 독립된 성질 평면 모양의 다원자분자, 또는 이온이 두 장 평행으로 늘어서 있고 그 사이에 금속원자를 끼워 마치 샌드위치 같은 형태의 화합물 ... ...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미립자가 영하 5℃ 이하에서 빙정핵의 역할을 한다. 낙하하는 드라이아이스 조각은
표면
온도가 영하 78℃정도로 낙하 경로에 있는 구름입자를 영하 40℃로 빙결시키면서 많은 입자들이 응결핵으로 작용하도록 활성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요오드화은은 영하 4-영하 6℃이하의 구름에 뿌려지고,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가까이로 올라오면 위에서 누르는 큰 압력이 줄어들어 팽창한다. 이 과정에서 화강암
표면
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균열된 틈이 많이 형성되는데, 이것이 ‘절리’(joint)다. 여기에 수분이 스며들면 암석이 부서진다. 이 과정을 심층풍화 또는 지중풍화라고 한다. 땅 속에서 진행되는 풍화작용이라는 ... ...
패턴의 바다에서 솟아나는 직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11이 매력적일 것이다.유전알고리즘은 이런 스키마를 명시적으로 다루지 않고 대신
표면
적으로 염색체들을 다룬다. 스키마들은 염색체들의 진화 과정에서 암묵적으로 경쟁한다 (사실 고품질 스키마의 존재를 미리 알면 문제가 처음보다 쉬워지지만 이를 알기 힘들기 때문에 어려움이 따른다). ... ...
1. 미국 최악의 정전사태 맞은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애자는 전력선과 철탑 사이를 절연하는 원통 모양의 장비로, 절연력을 크게 하기 위해
표면
은 주름으로 돼 있다.전력이 대도시에 도달하면 배전용 변전소에서 22.9kV의 낮은 전압으로 변환된다. 배전용 변전소를 거친 전력은 배전선을 통해 중대형 공장이나 길거리의 수전변압기나 주상변압기에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외부에서 힘을 받아도 부러지는 대신 휘어지고 힘이 사라지면 원상태로 복귀한다. 또
표면
의 화학적 구조가 조금만 바뀌어도 전기적 성질이 쉽게 변해 다양한 수준의 반도체나 도체를 만들 수 있다.최근 탄소나노튜브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전계방출디스플레이(FED)의 핵심소재로 주목받고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