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생각을 그렇게 골똘히 하고 있나?” 앨런 대원이 픽 웃으며 말을 건냈다. 앞을 보니 이제 다음 진료가 내 차례였다. 앨런의 웃음을 뒤로 하고, 하우스 박사의 진료실로 들어섰다 ... ...
- 먹는 걸로 장난치면 예술!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빅토르 누네스는 우선 주변을 보고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할 사물을 선택해요. 그 다음 검은색 볼펜을 손에 쥐고 사물을 보고 생각나는 대로 그려서 여러 그림을 한 데 모으면 끝! 참 쉽죠? 친구들도 지금 바로 빅토르 누네스처럼 독특하고 창의적인 그림을 그려 보세요 ... ...
-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11호
- 고유한 숫자 정보를 부여한다. 그림을 잘게 나눠 수로 나타낸다는 뜻이다. 그런 다음 이것을 웨이블릿 변환 수학모델로 분석한다. 이렇게 하면 고흐만의 고유한 붓질의 성질을 수학적으로 알아내 훼손된 그림을 복원하거나, 모사품을 구별할 수 있다.물론 아직까지 수학 이론으로 완벽하게 그림을 ...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쉽게 보일 수 있다. 7월호에서 설명했듯이 디락은 2차 미분연산의 제곱근을 찾는 다음 방정식을 풀어야만 했다. 여기서 변수는 A, B, C, D인데 결국 그들은 A²=1, B²=C²=D²=-1과 AB+BA=AC+CA=AD+DA=BC+CB=BD+DB=CD+DC=0을 만족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보통 수로는 해가 불가능한 이 방정식들이 이제는 A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번 사태 전에 카카오톡은 메시지를 일주일 간 서버에 저장했다. 카카오톡 서버가 있는 다음카카오 본사에 검찰이 영장을 가져오면 사용자의 지난 7일간 대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뜻이다. 카카오톡은 사찰 논란이 일자 서버 저장 기간을 3일로 줄였다. 하지만 ‘서버에서 데이터를 삭제해도 ...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했다.우선 지상에서 하는 예비 시험을 최대한 줄였다. 다음으로 무게를 줄였다. 미국의 화성 탐사선 메이븐의 발사 무게는 2454kg에 달한다. 망갈리안은 절반인 1337kg에 불과하다. 탑재된 과학장비의 무게도 차이가 심하다. 메이븐은 65kg이지만 망갈리안은 15kg이다. 물론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종종 코끼리를 사냥해왔기 때문에 코끼리가 공격하는 게 당연했는데, 흥미로운 건 그 다음이었지요. 마사이족이 아닌 다른 사람일 경우에는 바로 눈 앞에서 코끼리에게 뾰족한 창을 휘둘러도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겁니다. 냄새로 사람 구분하는 아프리카코끼리 영국 리처드 바이른 교수팀이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가장 많이 먹었을까? 단연 돼지다. 총 소비량의 절반이 돼지고기다. 닭고기가 28%로 다음이다. 돼지와 닭이 한국인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 된 이유는 싸면서도 맛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만나기도 힘든 한우와 달리 ‘토종’을 먹을 수 있는 기회까지 준다. 흑돼지나 토종닭 같은 녀석들 말이다.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기록한 뒤 풀어줬다. 일이 끝나면 연구실로 돌아가 컴퓨터에 사진을 올리기만 하면 된다. 다음에 같은 개구리를 관찰하게 되면 계절에 따라 어떻게 이동하는지, 얼마나 이동하는 지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김미연 연구원은 “아직 분석 중이긴 하지만, 청개구리가 처음 정한 서식지에서 크게 ...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충격파의 속도나 전기저항이 변하는 정도를 보면 지하에 어떤 물질이 있는지 알 수 있죠. 다음은 개발입니다. 석유나 가스 같은 유체자원인지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고체자원인지에 따라 개발 방식이 다릅니다. 유체 자원은 시추공으로 땅을 깊게 뚫어 채취하고 고체는 광산 같이 터널을 뚫어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