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오락가락하고 있어, 지난 5월 ‘네이처’로부터 질타를 받았다. 사람들은 아직도 나의 다음 탐사 대상을 제대로 정하지 못했다. 카이퍼벨트에는 큰 것만 쳐도 7만 개가 넘는 천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워낙 간격이 넓어 무작정 향했다가는 단 한 개의 천체도 가까이에서 관찰하지 못할 수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앞으로 빨간 모자가 걸어가야 할 날들이 긴 그림자를 그리며 겹쳐지네요. 빨간 모자는 다음에는 그림자 끝에 홀로 쓸쓸하게 앉은 늙은 늑대와도 인사하리라 마음먹었습니다. 늑대가 덤비면 어떡하냐고요? 괜찮아요. 할머니와 함께 있으면 무섭지 않은걸요~ ... ...
- [수학뉴스] 자연스러운 음악, 수학적 패턴 덕분이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한 쌍으로 짝지었다. 그리고 두 사람이 함께 같은 디지털 피아노를 연주하도록 했다. 그 다음, 녹음된 음원 데이터에 나타나는 리듬의 편차를 분석했다.그 결과, 두 사람의 듀엣 연주에서 6~8분 간격으로 서로의 박자를 따라잡고(catch-up), 맞춰 주는(slow-down) 패턴이 반복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덧셈은 (a0, a₁, …, a7)+(b0, b₁, …, b7)=(a0+b0, a₁+b₂…, a7+b7)로 정의하지만, 곱셈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복잡하다.그런데 이 복잡해 보이는 곱셈은 벡터와 평행사변형의 연산을 한 차원 올려서 평행다면체 연산으로 확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설명된다. 그러니까 이제는 벡터 3개의 곱 A∧B∧C나,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계약을 맺고 연구하던 중 탄생했다. 두 사람은 일명 ‘자동 기계’를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생각의 과정을 거쳤다.➊ 사람은 계산을 10진법으로 한다.➋ 10진법 연산은 2진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➌ 2진법 연산(덧셈)은 부울대수★로 표현이 가능하다.➍ 부울대수는 진공관으로 구현할 수 있다.➎ ... ...
- 풍선처럼 둥둥 떠서 전기 만드는 풍력발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BAT)’를 개발했어요. 배트는 풍선처럼 생긴 몸통에 헬륨가스를 가득 채워 하늘에 띄운 다음, 땅에 세운 풍력발전기와 마찬가지로 바람이 프로펠러를 돌리는 힘으로 전기를 만들지요. 땅까지 늘어뜨려진 전깃줄로 전기를 보낸답니다. 최근에는 배트를 약 300m 높이까지 띄워 전기를 만드는 데 ...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다른지 아니? 헷갈리는 시간에 관한 말에도 기준이 있었어.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아. 3시간 단위로 구분하려고 6시간 단위인 오전, 오후, 밤을 ‘늦은 오전(9시~12시)’, ‘이른 오후(12시~15시)’, ‘늦은 밤(21시~24시)’으로 부르기도 하지.비나 눈이 ‘한때’ 오거나 ‘가끔’ 온다고 할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때문에 맨눈으로 월식의 전 과정을 관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다음 개기월식은 2018년 1월 31일, 7월 27일, 그리고 2019년 1월 27일이다. 2014년, 더욱 특별한 달“한 인간에게는 작은 발자국이나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다”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은 인류 ... ...
- 산대와 x로 알아본 동서양의 방정식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프랑스의 수학자 지라르가 제안한 ‘대수학의 기본 정리’다.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 문장과 같다. 대수학의 기본 정리는 일반적인 방정식의 해의 존재에 관한 정리로, 이름처럼 대수학의 기본이 되는 역할을 한다. 여러 수학자들이 이를 증명하기 위해 노력했는데, 최초의 증명은 프랑스의 수학자 ...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이것도 원래는 BL4에서 해야 하는데, 여건상 BL3 안에 격리시설을 갖춰 안전을 강화한 다음 실시한다.현재 전 세계 21개국에 54개 BL4 실험실이 있다. 우리나라도 55번째 BL4 실험실을 만들고 있다. 올해 말에 실험실이 완성되고, 복잡한 승인과정을 거쳐 빠르면 내년 말부터 가동을 시작한다. 에볼라 ... ...
이전2712722732742752762772782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