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노르웨이극지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북극의 파리’ 트롬쇠에 있는 노르웨이극지연구소(NPI).왼쪽 건물이 폴라리아, 오른쪽이 NPI가 있는 프람센터다.북극과 인접한 노르웨이는 유서깊은 극지 연구의 나라입니다. 1903~1906년 북극해 항해를 처음으로 성공하고, 1911년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한 탐험가 아문센이 바로 노르웨이 사람이죠. 노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전세계 사람들이 1년 동안 레고를 가지고 노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아니? 무려 50억 시간이나 된다고 해. 그 인기비결을 알기 위해 우선 블록 장난감의 역사를 알아보자.블록의 진화알록달록한 색깔에, 올록볼록한 모습.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블록 장난감의 모습이지요. 하지만 블록이 처음부터 ...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상현실은 단어 그대로 가짜 체험이다. 현실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일을 사람의 시각, 청각, 후각과 같은 감각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현실처럼 만든 시공간에서 체험한다. 이 가상공간은 두뇌가 인식하는 방식이나 생체 신호를 흉내 내서 만든다.가상현실은 1930년대에 군사 훈련 시 ...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파티에 참가한 아이들에게 맛있는 케이크를 공평하게 나눠주려고 합니다. 물론 수학을 사용해서 말이지요. 매우 쉬운 문제 같지만 사실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누구는 초콜릿이 있는 부분을 좋아하고, 다른 누구는 딸기가 올라간 부분을 좋아하는 등 취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공평하다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여러분은 ‘사귄다’고 이야기하면 가장 먼저 무엇이 떠오르나요? 서로 좋아하는 여자와 남자가 만나 데이트 하는 모습이 생각날 겁니다. 근데 북한에서는 ‘사귐’이라는 단어가 수학에 쓰인다고 합니다. 수학과 전혀 관련없어 보이는데 말이죠. 도대체 이 단어는 무엇을 뜻하는 걸까요?위는 우리 ... ...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교복이 예쁜 학교로 가고 싶어요!”, “올림피아드가 뭐예요?” 시계를 거꾸로 돌려 중학교 3학년인 박보람 양을 만났다면 아마 이 말을 듣지 않았을까. 수학을 좋아하고, 친구들의 질문을 함께 고민하는 일이 즐거웠던 소녀는 단단한 수학자로 자라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박보람 교수의 어 ... ...
- [과학뉴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지금까지 모든 뇌 질환 연구는 1988년 처음 뇌지도로 만들어진 60세 프랑스 여성의 뇌를 기준으로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환경이나 유전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쓰이는 뇌 모형이 서양인에게 맞춰져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국내연구진이 한국 노인에게 맞춘 뇌 모형을 개발했다.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색깔파란색 초콜릿? 웩!초콜릿이 파란색이라고 해보자. 과연 먹고 싶은 생각이들까? 야생에서 정체나 상태가 불확실한 식재료에서 먹을 것을 골라내야 했을 때 시각 정보는 최우선으로 쓰였다. 즉, 시각 정보는 음식의 맛을 기대하거나 식별하는 데 중요하다. 예를 들어, 향이 없는 용액에 한쪽은 색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꿀벌은 하루 종일 먹을 것을 찾아 헤맸다. 그러다 마침내 탐스런 꽃을 찾았다. 곧바로 내려 앉았다. 대롱을 꽂고 꿀을 빨아 먹었다. 황홀한 달콤함에 피로가 싹 날아가…, 잠깐. 꿀벌이 달콤한 꿀맛을 느낄 줄 알까? 종일 꽃을 찾아 헤매느라 피곤하다는 느낌은?꿀벌이 꿀맛을 알려면 크게 두 가지가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장내미생물의 기원이 이제야 서서히 윤곽을 보이는 것과 달리, 장내미생물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전부터 뜨거웠다. 불을 당긴 건 미국 워싱턴대 제프리고든 교수팀이었다. 2006년 ‘네이처’에 장에 사는 세균에 따라 날씬해지거나 살이 찔 수 있다는 쥐실험결과를 공개한 이후, 장내미생물은 한 순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