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바벨탑은 성경의 창세기에 등장하는 고대의 초거대건축물이다. 하늘에 닿을 정도로 높은 건물을 지으려고 했던 바빌론은 신의 노여움을 샀고, 바벨탑은 결국 무너졌다.바빌론인들은 어떻게 바벨탑을 지었을까성경에 기록된 바벨탑 이야기를 곧이곧대로 믿을 수는 없지만, 높은 건축물이 바빌론에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010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심리학자 에드 디너 교수 연구팀이 실시한 행복도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130개국 중 뒤에서 15번째로 행복한 나라였다. 한국 사람들이 불행하다고 느낀 이유 중 하나는 ‘경제적 문제’였다. 하지만 알다시피 한국이 경제적으로 115번째로 밀릴 만큼 빈곤한 나라가 아 ... ...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주토피아’ 같은 애니메이션이나 영화의 실감 나는 그래픽은 어떻게 만들까. 철통 같은 암호를 만들어 절대 안전한 온라인 쇼핑몰을 만들 수 있을까. 도로의 신호 주기에서 항공기 배치 간격까지, 사람들이 기다리는 시간을 줄이고 이동 효율을 높일 최적의 묘안은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이 모 ... ...
- [Tech & Fun] ‘싸인’의 ‘아이돌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011년 SBS에서 방영한 드라마 ‘싸인’은 우리나라 최초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을 배경으로 한 수사 드라마입니다. 드라마 첫 회를 장식한 에피소드는 실제 1995년에 일어났던 가수 ‘듀스’의 고(故)김성재 씨 사건을 모티브로 하고 있죠. 당시 최고의 인기를 누리던 김성재 씨는 의문의 죽음을 맞이 ... ...
- [Career] 손으로 만지고 즐기는 이노베이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누나를 따라온 꼬맹이는 생전 처음으로 흰색 가운을 입은 듯했다. 가운을 입은 모습이 신기한지 엄마 손에서 스마트폰을 뺏어, 스마트폰을 거울삼아 자기 모습을 비춰봤다. 꼬마가 처음으로 연구원복을 입은 곳은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이었다.아이돌 콘서트 못지않은 ‘광클’ 전쟁8월 13일 토요일 ... ...
- [Career] “기계 없는 현대는 상상할 수 없죠”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우리는 이동하는 매 순간, 기계를 만난다. 그만큼 기계는 우리 삶에 있어 지배적인 존재다. 공학에서도 마찬가지다. 컴퓨터공학, 생명공학 등 많은 공학이 기계의 도움을 받고 있다. 지난 8월 5일에 만난 이관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기계항공공학은 현대 공학 그 자체”라며 “다른 모든 ...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과학동아 6월호 커버스토리에서 기자는 절단장애인을 위한 첨단의수족 기술을 주로 다뤘다. 불의의 사고로 다리를 잃은 무용수를 1년 만에 다시 무대로 복귀 시킨 미국 MIT 미디어랩 휴 허 교수의 전자의족 기술과, 생각대로 움직이는 전자의수를 만들려는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5개년 프로젝트 등을 ... ...
- [재미] 내 손으로 뚝딱, 나도 게임개발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우와~. 엄청 크다.”2016 수학동아 게임카페의 첫 번째 순서로 엔씨소프트 사옥을 견학하면서 여기저기서 탄성이 터져나왔어요. 1층 로비부터 12층 도서관까지 둘러본 게임카페 참가자들의 눈은 초롱초롱하게 바뀌어있었지요. 이렇게 시작된 이틀간의 일정 동안 참가자들은 직접 만든 게임을 구글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는 인간의 뇌신경 연결지도를 만든다는 목표로세계적인 뇌과학 연구자들이 지난 2005년 출범시킨 공동 연구다.이번 여름휴가는 어디로 다녀오셨나요? 예전에 가봤던 곳을 잊지 못해 또 가보셨나요, 아니면 새로운 곳을 향해 떠나셨나요. 저는 이번에 잘 알려지지 않은 곳으로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350년 전 현미경을 발명한 네덜란드의 과학자 겸 상인 안토니 반 레벤후크는 깨알만 한 공간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미생물을 처음 보고 ‘아주 작은 동물(animalcules)’이라는 이름을 지어줬다. 하지만 미생물 입장에서는 ‘가소롭게’ 들렸을 것이다. 미생물은 지난 35억 년 동안 지구의 주인이었으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