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이야기니까. 밤에 검은 옷을 입고 다니면 눈에 잘 띄지 않듯이, 소행성 중에도 표면
물질
이 햇빛을 잘 반사하지 않아 망원경에도 보이지 않는 것들이 많다. 이런 미확인 소행성은 지름 100~300m급만 약 1만3700여 개로 추정된다. 도시 하나를 초토화시킬 수 있는 지름 30m급은 발견된 게 1%에 불과하다.성을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스타더스트호는 혜성 시료를 채취했어요. 그 전까지는 혜성이 소행성과 완전히 별도의
물질
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혜성의 조성도 소행성과 별반 다르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소행성 가운데 태양계 바깥으로 밀려난 걸 혜성이라고 보기도 하죠. 일본의 우주탐사선 하야부사는 지구 근처에 있는 ... ...
[hot science] “내가 만만해 보여?” 양자역학의 굴욕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동시에 갖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마음이 파동으로 변하면 몸 밖으로 나가 다른 사람이나
물질
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네요. 마음이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고 치유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 혹시 환자의 건강한 모습과 아픈 모습이 중첩돼 있을 때 의사의 마음이 환자를 건강한 모습으로 수렴하게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자원을 찾는 일입니다. 충격파의 속도나 전기저항이 변하는 정도를 보면 지하에 어떤
물질
이 있는지 알 수 있죠. 다음은 개발입니다. 석유나 가스 같은 유체자원인지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고체자원인지에 따라 개발 방식이 다릅니다. 유체 자원은 시추공으로 땅을 깊게 뚫어 채취하고 고체는 광산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제자파란색 LED 시대의 서막을 열다 수많은 실패가 이어지다 질화갈륨(GaN)이라는
물질
이 떠올랐다. 질화갈륨으로 파란색 LED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처음 밝혀낸 사람이 바로 나고야대의 아카사키 이사무 교수와 아마노 히로시 교수다. 아카사키 교수는 1974년부터 질화갈륨에 관심을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구한 연구”라고 말했다. “앞으로 10년 동안 제가 만든 제올라이트와 탄소 메조다공성
물질
의 응용성을 찾아내는 연구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촉매나 투명 전극, 저장장치 같은 게 좋은 예겠죠. 누가 알아요, 정말 10년 뒤에 그 성과로 노벨상도 받게 될지. 그런데 똑같은 연구 한다고 연구비 안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KAIST 입학기회를 준 것도 그런 고민 끝에 나온 결론이었다. “KAIST를 처음 세울 때
물질
적으로, 학문적으로 외국의 지원을 많이 받았어요. 불과 40년 전 일입니다. 이제 우리가 가진 걸 나눠야죠.”올해 처음 입학설명회를 갔지만, 아프리카에서 KAIST의 인기는 벌써 대단하다. 옆 나라에서 7~8시간 버스를 ... ...
[과학뉴스] 미백화장품 성분, 알고보니 다이어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독일 본 의대 알렉산더 페이퍼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의 성과다.연구팀이 이용한
물질
은 ‘아데노신’이다. 피부에 흡수될 경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해 자외선을 받더라도 피부가 검게 변하지 않도록 돕는다. 지금까지 아데노신은 비만을 해결하는 데 좋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누가 멀쩡한 동물의 귀나 발가락을 자르고, 뜨거운(또는 엄청나게 차가운) 쇠나 화학
물질
로 낙인을 찍고 싶겠는가. 그래서 찾아낸 것이 무늬다. 동물의 무늬는 태아 때 멜라닌이 피부에 확산되면서 만들어진다. 지문처럼 개체마다 다르고, 평생 거의 바뀌지 않는다(아래 참조). 그렇다면 무늬를 자동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공부하던 슈테판 헬은 광학현미경으로 얻은 이미지가 좀처럼 만족스럽지 않았다. 형광
물질
을 입힌 세포 소기관을 더 자세하게 보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헬에게는 수백 년간 단단히 버텨왔던 아베 한계를 무너뜨리겠다는 도전의식이 있었다.처음에 그의 야심은 무모해보였다.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