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11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이 무슨 죄'...인간 탐욕의 희생양 박쥐와 밍크, 뉴욕타임즈 선정 '올해의 동물'
2020.12.25
발견된 바이러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같은 조상에서 나왔지만 서로에게서 진화한
형태
는 아니었다. 실제 숙주는 따로 있을 가능성이 남은 것이다. WHO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최초 발원지를 찾기 위해 2021년 1월부터 초기 코로나19 확진 사례 조사단을 중국 우한으로 파견할 예정이다. ... ...
의협 올 초과사망 6% 늘었다는데 정부 "근거 없다"…의정, 초과사망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인구 고령화로 자연적인 (사망) 증가가 있고, 특히 작년 사망자 수는 예년과 달리 특이한
형태
였다는 점 때문에 작년과 올해를 단순비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윤 반장은 이어 “통계청도 지난 10월 말까진 지속적이고 유의미한 초과사망이 식별되지 않았다는 해석을 내놨다"면서 "(의협이) ... ...
코로나19로 늘어난 혼술…"간도 망치고 의존력 더해지며 고립감 더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국립알코올 남용 및 중독 연구소(NIAAA) 연구팀은 폭음이 과도한 음주의 가장 치명적인
형태
이며 종종 중독으로 이어진다는 분석 보고서를 내놨다. 정신의학 전문가들은 혼술이 일상생활에 뿌리내릴수록 의존주의가 깊어지고 자기 치료 수단으로 시작한 것이 자기도 모르게 알코올 중독으로 바뀔 ... ...
수분·고온에도 안정적인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입자 개발
연합뉴스
l
2020.12.24
분자(실리콘 기반 고분자)와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입자를 한꺼번에 감쌀 수 있는 캡슐
형태
의 복합체 수지를 개발했다.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열에 강한 실록세인 분자 구조가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입자를 화학적으로 보호하고, 페로브스카이트의 발광 안정성도 높일 수 있다. ... ...
[한 토막 과학상식]잡음 적은 레이저 '브릴루앙 레이저'란 무엇인가
2020.12.24
연구팀은 이 제작 기법을 활용해 브릴루앙 레이저를 반도체 칩 상에 소형 광소자
형태
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기존 칼코겐화합물 유리 기반 브릴루앙 레이저보다 100분의 1 수준의 에너지만으로도 구동이 가능했다. 연구팀은 "소형화 및 저전력 구동은 레이저 상용화를 위한 필수적인 ... ...
변이 코로나 6개국서 발견…전문가들 "이미 전세계에 퍼졌을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새로운 유전물질이 생긴다”고 말했다. 변이를 겪으며 인체에 침투하기에 용이한
형태
로 변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때문에 변이체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마리아 반 케르코브 WHO 코로나19 기술책임자는 “바이러스 확산이 길어질수록 변이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는 ... ...
더 다양한 코로나19 백신이 온다…'네이처'가 주목한 2021년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예정이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18개의 육각형 거울을 벌집처럼 이어붙인 독특한
형태
로도 유명하며, 로켓에는 거울을 접어 싣는다. 접힌 거울은 우주 공간에서 로켓과 분리되면 펼쳐진다. 망원경의 이름은 아폴로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NASA 과학자인 제임스 웹에서 땄다. 처음 개념 ... ...
[팩트체크] 코로나19 백신 맞으면 DNA 변화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mRNA 백신은 DNA에 변화를 줄 수 없다. 박 교수는 “사람의 유전정보는 세포의 핵 안에 DNA의
형태
로 존재한다”며 “mRNA 백신에 의해 주입된 RNA는 세포 핵 밖의 세포질에서 작용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어 “백신은 사람 DNA가 들어 있는 핵 안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단백질을 생성한 후 우리 ... ...
[랩큐멘터리]편리한 삶 위한 아이디어 발굴부터 상용화까지 모두 경험하는 실전형 연구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2
인류가 활용하는 다양한 기술들은 실험실의 연구가 길고 긴 검증의 과정을 거쳐 유용한
형태
로 시장에 나온 것들이다. 하지만 하나의 기술이 시장에 나오기까지 전 과정을 경험해보는 연구자들은 흔치 않다. 연구가 논문에 그치거나 실생활에 활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다른 연구를 상용화하는 ... ...
진통제로 쓰는 '조개 속 독소' 대량 배양 기술 국산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중 동중국해 한가운데서 희귀한 와편모조류를 발견했다. 국내로 가져와 유전자와
형태
를 분석한 결과 이 플랑크톤이 100년 전 학계에 보고된 이후 한 번도 발견된 일이 없는 센트로디니움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지난해 7월 국제학술지 '프로티스트'에 이를 알렸다. 연구팀은 이 플랑크톤의 대량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