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개념부터 융합수학, 산업수학까지 수학나라에서 다양한 모험을 즐길 준비가 됐나요? 안과 밖이 똑같은 뫼비우스 띠처럼 사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수학나라고, 수학나라가 곧 우리가 사는 세상이랍니다. 어서 수학나라에 방문해 보세요. 수학 기호가 빨려 들어가는 굴이 수학나라로 가는 입구랍니다 ... ...
- [과학뉴스] 호박 속에 갇힌 개구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블랙번 학예사는 “개구리는 2억 년 전 지구상에 등장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동안 이를 입증할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며 “화석을 분석해 당시 개구리의 생활상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98-018-26848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을 맡고 있다. 쉽게 말해 게임 최적화 작업과 코드 안정성 확인, 게임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하는 일을 하고 있다. 게임의 성능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향상시키는 일이라고 보면 된다. 과거 개발자들이 만든 소스코드들이 게임을 정상적으로 재현하는지 확인하고, 게임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욕설 구분 정확도는 거의 100%최근 인텔리전스랩스는 유저들이 공개 채팅을 하는 동안 욕설을 감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해 ‘서든어택’에서 테스트 중이다. 이전에는 관리자들이 신고가 들어온 공개 채팅을 하나하나 읽어보면서 욕설인지 아닌지 판단해야 해 피로도가 ... ...
- [Issue] 한국판 셜록홈즈 나오나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는 수준의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인수합병 전문 탐정의 경우 합법적인 범위 안에서 상대 회사의 기업 규모나 재정 상태 등 고급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때문에 미국의 경우 탐정은 고소득 직업으로도 꼽힌다. 미국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탐정의 평균 연봉은 2016년 기준 6만1600달러(약 6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앞서 말한 것처럼 몸의 특정 기능을 하는 체세포로 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동안 연구를 통해 조혈모세포, 피부줄기세포, 장줄기세포 등이 모두 천천히 분열하는 성체줄기세포와 빨리 분열하는 성체줄기세포로 이뤄져 있다는 게 밝혀졌습니다.그럼 여기서 의문이 생깁니다. 우리 몸은 왜 ... ...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취업 조선해양공학은 한국이 산업에서뿐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세계를 선도하는 몇 안 되는 분야 중 하나다. 따라서 조선해양공학과를 졸업한 학생은 굳이 해외 유학을 갈 필요도 없고, 해외 취업을 선호하지도 않는다. 구글이나 페이스북 등 글로벌 IT 기업에 취직하는 것이 꿈인 다른 공학 분야와는 ... ...
- [과학뉴스] 피부에 바로 인쇄하는 3D 프린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4월 2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400달러(약 43만 원)가 안 되는 저렴한 3D프린터를 개조했다. 기존 3D프린터는 약 100도에서 잉크를 사용해야 하는데, 개조한 3D프린터는 상온에서 전도할 수 있는 ‘실버 플레이크(silver flakes)’로 만든 특수 잉크를 사용한다. 피부에 바로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래서 과일에 빛을 쪼인 뒤 반사돼 나온 빛에 포함된 근적외선이 줄어든 만큼 과일 안에 당이 들어있다는 뜻이다. 딸기의 경우 다른 과일에 비해 육질이 약한 데다 손이 닿으면 쉽게 물러져 상품성이 떨어진다.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는 광센서 측정을 적용하면 유리하다는 의미다. 광센서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거쳐 SCL3을 달려온 입자는 저에너지 핵과학 실험에 사용된다. 희귀동위원소와 안정동위원소의 핵을 서로 충돌시키는 실험을 통해 핵의 특이 구조를 규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SCL2는 SCL3을 지나면서 생성된 희귀동위원소를 IF방식으로 다시 한 번 가속하는 데 쓰인다. 희귀동위원소 빔은 180m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