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계란에
유전
자 주입, 형광닭 생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걸리지 않고 부화된 병아리는 6개월만에 다시 알을 낳을 수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유전
자 주입 기술을 활용하면 계란에서 혈액응고인자, 조혈촉진인자 등 인체 유용 단백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건국대, 충남대, 축산기술연구소와 공동으로 이뤄졌으며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變易遺傳子)등은 멘델리즘만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으며 그 중에는 비(非)멘델성(性)
유전
으로 생각되는 것도 있다 1947년 C D 로베슨이 간유(肝油)에서 분리한 천연 비타민 A의 올트렌스(all-trans) 형 이성질체 속새강(網) 속새목(目)에 속하는 화석식물 현생 속새류인 에퀴세툼보다 노목(盧木)에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가진 약제(藥劑)로도 알려져 있다금속의 핵자기공명에서 외부자기장 H에 의해 유발된 자
유전
자계의 자기모멘트(H에 비례함)가 원자핵에 미치는 내부자기장 때문에 일어나는 공명주파수의 이동량 나이트이동이라고도 한다 구석기시대의 유물로 칼과 유사하게 만들어진 석기 1963년에 우리 나라의 ... ...
땅위를 달리는 우주선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피부노화와 각종 질병, 심지어 피부암까지 이르게 되는 희귀성
유전
질환. 대기권 밖에서의 강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술이 여기에 적용됐다.● 선박용 전복 방지 기술프랑스 출신 모험가인 라파엘라 르 고벨로는 자신의 윈드서핑보드에 전복방지 장치를 장착했다. 이 기술 ... ...
나도선 교수, 여성생명과학진흥상 수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나도선 울산대 의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6월 17일 발표했다.나 교수는 1980년대 국내에서
유전
자 재조합 분야를 개척한 장본인이다. 뛰어난 연구 실적과 더불어 여성 과학기술 인력을 적극적으로 후원하고 여성 과학기술자들의 단체 활동에 주도적 역할을 해온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또한 약진상은 ... ...
정재승 교수가 이끄는 대학생 연합 동아리 '꿈꾸는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프로듀서로서 꿈이 영글어가고 있다. “자신을 찾아가는 거죠.”(최승원, 고려대 생명
유전
공학 3년)이들은 ‘있다면?없다면!’ 으로 과학동아 이번호에 데뷔했다. 생활 속 엉뚱한 상상을 과학적으로 펼쳐보이는 새연재다. 이들의 상상력이 불꽃놀이처럼 발산되는 것을 이곳에서 만날 수 있다.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여기는 21세기의 새로운 생명모델의 바탕이 되고 있다. 티스푼 하나만큼의 흙에도
유전
적으로 서로 다른 미생물이 수만가지나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면서 한 움큼의 흙을 들어 올려보자. 그리고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그 안에 담긴 미생물 때문에 나와 모든 생명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다는 ... ...
유전
자 집어넣어 바람기 잠재운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DNA 영역의 돌연변이가 관찰된다”며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지 못하는 성격을 이
유전
자로 설명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6월 17일자에 실렸다 ... ...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 이영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기다리는 과제는 무궁무진하다.식물 수송이라는 기초 연구에서 시작해 중금속 저항
유전
자 개발이라는 생명기술(BT) 영역에의 활용과 독성 물질 제거라는 환경기술(ET)에 이르기까지 그간 세간의 주목을 별로 받지 못했던 식물학 영역에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 이 교수가 보여줄 푸른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위험인자의
유전
자 검사만으로 산발성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확률을 정확히 알 수는 없다.
유전
성과 산발성 알츠하이머병의 공통 원인으로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베타아밀로이드는 정상인의 경우에도 인체 곳곳에서 소량 만들어진다. 베타아밀로이드가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