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은 문제 해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다시 떠오르고 증폭되며, 짧은 렘수면 때 마침내 방아쇠를 당기듯 기억을 공고히 하는
유전
자가 작동되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라고 설명했다.리베이로 박사는 쥐의 뇌에 1백개의 미세전극을 꽂아 놓고 4가지 새로운 물건을 보여줬다. 그런 다음 며칠 동안 잠을 잘 때의 뇌 활동을 조사한 결과, 새로운 ... ...
21세기형 동물원, 생태동물원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우리나라 산양, 수달, 반달곰, 삵 등 야생동물들의 순수혈통 보전을 위해 계통분류학적
유전
자연구를 수행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새로 조성되는 토종생태동물원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져야 한다. 다행히 우리국민 대다수도 야생동물 보전과 복원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 ...
투명물고기가 공생비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무균처리한 뒤 장세포에서 일어나는
유전
자 발현을 추적했다. 그 결과 2백12개의
유전
자 발현이 미생물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중 59개는 생쥐와도 겹친다. 이것은 동물과 미생물의 상호작용이 오래 전에 시작됐음을 시사한다. 연구자들은 “투명하고 작고 금방 자라는 제브라피시는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배열돼있는
유전
자가 감수분열 때 교차를 일으키는 빈도 이를 알면 염색체 위의 특정
유전
자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손가락을 움직여 손가락 끝 지문이 있는 부위끼리 맞닿게 하는 동작 엄지는 다른 네 손가락과 각각 마주보기가 가능하지만 다른 네 손가락끼리는 마주보기가 불가능하다 엄지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에 국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배아 복제의 핵심은 체세포의
유전
자를 발생 초기로 돌리는데 있다. 연구팀은 이를 잘 활용하면 언젠가는 복제를 통하지 않고도 체세포 자체를 줄기세포를 얻을 수 있는 수정란 상태로 만들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 역시 황 교수팀의 다음 ... ...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있다. 아직까지 생명체들이 정확히 어떻게 광결정을 만드는지는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유전
자의 지시에 따라 정교한 순서로 결정구조가 형성되는 자기조립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보인다.최근 양 교수팀은 지름이 머리카락 두께의 5백분의 1정도인 나노구슬이 자기조립 과정을 거쳐 광결정을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발현돼 만들어진 mRNA를 이용해 거꾸로 만든 DNA 염기서열조각 발현된 부분이기 때문에
유전
자이거나 그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프로그램의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 중앙처리장치라고도 부른다원자핵이 α입자(헬륨원자핵과 동일)를 방출하고 다른 ... ...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동일한 생물체의 집단을 클론이라고 한다 옛날부터 원예에서 많이 이용돼 왔다
유전
공학의 발전으로 동일한 동물들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관심의 대상이 됐고 실제로 개구리복제가 성공한 적이 있다고릴라는 등에 회식털이 나 있는(silverback이라고 함) 대장 수컷을 중심으로 40여마리 ... ...
고교생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보고서 제목만 보더라도 학생들의 연구가 단순 실험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유전
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 생활효소에 관한 연구’나 ‘침입분석과 실시간 대응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수학적 모델을 통한 인구역학 문제’로 넘어가면 ‘고등학생이 해봤자’라는 폄하가 어느새 목구명 ... ...
스트레스는 공포의 기억을 부활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의해 발현되는
유전
자 중 하나가 바로 글루코코티코이드 수용체를 분해하는 효소의
유전
자다. 자신이 전달되는 경로를 스스로 차단하는 셈이다. 이는 글루코코티코이드의 생물학적 효과를 첫 단계에서 차단하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