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돌고래는 휘파람으로 말한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사실을 밝혔어요. 아일랜드의 섀넌 돌고래 및 야생동물재단에서 돌고래를 연구하는 사이먼 비로우 박사는 같은 종류라도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돌고래끼리는 의사소통이 어렵다는 점도 발견했어요.우리나라 사람은 우리말, 미국 사람은 영어를 쓰는 것과 마찬가지로 지역에 따라 언어가 다르기 ...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체험 활동이 만난다면? 큰 4D프레임을 활용해 거대한 지오데식 돔을 만들고, 그 구조물 사이에 수능 희망 메시지를 붙여 선배와 친구를 응원할 수도 있습니다. 지오데식 돔을 만들 마땅한 장소를 찾지 못해 운동장에서 만들기도 하고, 비바람에 애써 만든 지오데식 돔이 부서지기도 했지만 학생들은 ... ...
- [과학뉴스] IS 온라인 선전 활동 분석 첫 공개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슬람국가(IS)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잘 활용하는 테러집단이다. 테러를 SNS로 예고하고, 홍보영상을 올려 새로운 단원을 모집하기도 한다. 최근 미국 연구 ... 그룹을 집중적으로 감시하면 IS의 집단행동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6월 17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그때가 되면 일반상대성이론도 만유인력 법칙처럼 특정 범위에서만 들어맞는 ‘근사이론’이 될 것”이라고 했다.하지만 등가원리 위반이 발견된다 하더라도 당장 새로운 이론이 떠오르진 않을 것이다. 권오경 박사는 “등가원리가 위반될 수 있는 이유야 무한히 많다”면서 “위반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저장물질인 ATP를 생성할 때 만들어진다. 전자전달계에서 양성자(H+)를 내막과 외막 사이로 퍼낼 때, 주위의 산소(O2)가 고에너지 전자와 반응해 과산화물 음이온 라디칼(·O2-), 즉 활성산소가 된다.활성산소는 대개 근처의 물과 빠르게 결합해 정상 산소로 돌아오지만, 2% 이내는 몸속을 떠돌게 된다.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불렀어야 맞다).다니야마-시무라의 추론은 동떨어진 두 섬(타원방정식과 모듈형태) 사이에 가상의 다리를 놓은 것과 같다. 수학의 역사에서 이런 일은 처음이었다.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 게르하르트 프라이 교수와 미국 UC버클리 켄 리벳 교수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사람들과 대화를 하는 게 너무도 힘들었다. 걸핏하면 화난 걸로 오해나 받고, 사람들과 사이는 나빠지기 일쑤였다. 그냥 묵묵히 수업을 듣는 거라면 어떻게든 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대학교에는 조별과제라는 것을 비롯해서 다른 사람과 대화하면서 해야 할 게 너무도 많았던 것이다.다행히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인공지능 로봇 ‘ 바두게 다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가장 먼저 ‘일요일’이라고 중얼거린 썰렁홈즈. 결국 잠시 뒤 썰렁홈즈는 바둑판을 사이에 두고 ‘바두게 다린’과 대결을 펼치게 되었다.“여기 바둑판 위에 돌 중 딱 하나만 움직여서 5개의 흑돌 2줄을 만들어 주세요!”“띠리리리-. 이상황에 맞는 말은 ‘어부바’…, 띠리리리-.”MISSION 3. 흰돌을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369개로 놀라울 정도로 정확했다.학생들은 이 외에도 하루에 팔리는 휴대전화 수, 하루 사이에 전국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컵의 수, 골프공의 구멍 수, 새 볼펜으로 그릴 수 있는 선분의 수 등을 페르미 추정으로 구해봤다.바뀌는 수학 수업 이것이 궁금하다!그런데 팀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수학의 ... ...
- [Editor’s Note] 공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네안데르탈인, 그리고 데니소바인이 서로 피를 섞으며 공존했다는 사실은 최근 5년 사이에 상식이 됐다.200만 년 전 초기 호모 속이 태어났을 당시에도 여러 친척 종들이 공존했음도 드러났다. ‘호빗’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병에 걸린 현생인류가 아니라, 정말 몸도 뇌도 작은 친척 인류였음을 ... ...
이전2722732742752762772782792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