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에너지를 쓰기 때문에 시작하기 전에 지칠 수밖에없다. 실제로 일에 대한 흥미와 성과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단순하고 일반적인 업무에서 재능보다 흥미가 일의 성과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한 연구도 있다(Perspectives onPsychological Science July 2012 vol. 7 no. 4 38 ...
- [지식] 소수 끝자리 분포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때문에 아주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러시아의 수학자 파프노티 체비쇼프는 1853년 1과 n 사이의 소수를 셀 때, 4k+3꼴의 소수가 4k+1꼴의 소수보다 더 많다는 사실을 알아냅니다. 일반화된 리만 가설 등 몇몇 가설이 참이라고 가정하면 1부터 n까지 3k+2꼴의 소수가 3k+1꼴의 소수보다 많을 확률이 99.9% ...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프라이가 만든 방정식 덕분에 수학자들은 타니야마-시무라 추론과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1993년 앤드루 와일스는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을 증명해냈다. 즉,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것이다. 그는 강연을 통해 이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 ...
- 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찾아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나열된 수를 구분할 때는 ‘,’로 나타내는데, 자연수와 소수점 사이의 자리를 구분할 때만 ‘;’을 이용한다. 이런 방법으로 구한 목성의 전체 이동 거리는 16;15°이다. 10진법으로 바꾸면 120일간 목성은 16.25°만큼 이동했다. 연구를 이끈 독일 홈보트대 고대과학사학과 ... ...
- [수학동아클리닉] 물결처럼 굽이치는 도형수학동아 l2016년 05호
- 150년경에 살았던 히파르코스다. 히파르코스는 원의 현을 설명한 12권의 책에서 각과 현 사이의 관계를 찾아 오늘날의 구면 삼각법 공식을 발견했다. 히파르코스는 이를 이용해 별이 뜨는 시간을 구하는 등 천체의 관측에 이용했다.삼각법은 천문학뿐 아니라 항해술과 토지측량술 발전에도 영향을 ... ...
- [과학뉴스] 개미가 ‘군기’ 잡는 방법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사라졌거나, 규모가 과도하게 커져 분가를 앞두고 있는 개미 무리에선 일개미들 사이에 지배권을 확립하기 위한 행동이 관찰된다. 지배권을 획득한 개미는 먹이자원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재생산을 위한 행동도 할 수 있다.연구팀은 개미가 이를 위해 세 가지 행동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먼저 ... ...
- [과학뉴스] 화석 찾고 싶으면 ‘화석 가능성 지도’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킬대 공동연구팀은 과거 기후 모델과 지금까지 발굴된 화석의 연대를 이용해 최근 5만 년 사이 멸종한 거대동물들의 분포를 추정했다. 또한 퇴적암 바위나 호수 등 화석이 보존될 수 있는 안정한 지질학적 조건과, 화석을 보다 쉽게 발굴할 수 있는 현장 조건을 기준으로 지역별 점수를 매겼다. ... ...
- [과학뉴스] 고대인의 본성은 선한 천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그런데 예외가 있었다.일본 야마구치대 히사시 나카오 교수팀은 기원전 1만3000~300년 사이인 조몬시대에 살았던 유골 2500개를 분석했다. 조몬시대는 일본의 신석기 시대로, 사람들은 사냥과 채집을 하며 가족 단위로 땅굴에 살았다. 연구팀은 유골에서 뼈가 부러지는 등 폭력의 흔적이 있는지, 대규모 ... ...
- [과학뉴스] 암흑물질, 사람 세포만큼 무겁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배열(Keck Array) 망원경에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암흑물질의 질량이 1013GeV/c2에서 1015GeV/c2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다. 최소 윔프보다 1000억 배 무겁고, 최대 인간 세포 하나의 질량(1나노그램)과 맞먹는다. 연구팀은 질량이 큰 대신 입자의 상호작용이 훨씬 약할 것으로 내다봤다.산도라 연구원은 미국의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국내 최대 과학분야 웹사이트 중 하나인 ‘브릭(BRIC)’이 5월로 서비스 개시 20주년을 맞았다. 브릭은 2005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줄기세포 논문조작사건 당시 생 ... 있고 진지한 토론을 펼치고 싶은 욕구가 과학자들에게 있는 거죠. 우리나라에도 그런 사이트가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
이전276277278279280281282283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