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고도에서 풍경을 보듯 몇 걸음 뒤로 물러서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딥러닝은 입력과 출력 사이에 겹겹이 층(layer)을 쌓아 만든 네트워크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딥러닝을 이용해 인간의 신경망을 모방한 인공지능이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이다. 딥러닝의 각 층들은 간단한 연산을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것 자체가 환상이다. 사건들의 우주는 ‘관계론적인 우주’다. 모든 성질은 사건들 사이의 관련성을 통해 기술된다(애덤 프랭크 저 ‘시간 연대기’ 中).한 때 과학자들은 열을 ‘칼로릭’이라 불리는 실체라고 생각했다. 이제 우리는 열이 입자들의 운동이라는 걸 알고 있다. 열은 실재하지만, 더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 노토수쿠스류가 바로 시모수쿠스다. 시모수쿠스는 노토수쿠스류와 갑옷공룡 사이의 수렴진화를 보여준다. 납작 주둥이의 등장!바다 속에서 탈라토수쿠스류가 헤엄을 치고 육상에서 노토수쿠스류가 뛰어다닐 때, 물과 땅을 오가는 양서생활을 하는 악어도 등장했다. 신악어류다. 신악어류는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랜만에, 그의 발바닥이 땅으로부터 바람이 지나갈 만큼 아주 조금 떠오르고, 죽음과 그 사이에 우주만 한 작은 진공이 생겼다.“좋아했니?”마침내 그가 물었다.“괜찮았고?”“아 선생님, 지금 너무 ‘선생님’ 같아요.”소금이 열 살 소녀처럼 웃더니, 뒤의 질문에 먼저 답했다.“네, 괜찮았어요.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선택한 생존전략 중 하나는 바로 ‘아름다운 꽃 피우기’다. 형형색색 아름다운 꽃들 사이에서 더 크고 아름답거나 향기로운 꽃을 피워 곤충을 불러들이는 것이다.식물 중에서도 가장 진화한 종자식물만이 꽃을 피운다. 소나무와 참나무 같은 겉씨식물의 꽃은 열매와 비슷해서 잘 보이지 않는다.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나선 김 9단은 알파고를 ‘알신(알파고와 신의 합성어)’이라고 불렀다. 불과 일주일 사이에 많은 것들이 바뀌었다.고수는 뒷맛을 남기지 않고, 알파고는 맛이 없다바둑은 인간이 만든 가장 복잡한 보드게임이다. 경우의 수가 너무나 많아 어떤 정형화된 공식으로 바둑을 잘 두는 법을 쉽게 설명할 수 ...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거의 모든 물질은 플라스마 상태로 이뤄져 있다. 우주에 흩어진 수많은 별과 그들 사이를 채우는 성운, 블랙홀, 희박하긴 하지만 우주 공간의 입자가 모두 플라스마 상태다. 태양계에서는 태양 자체가 거대한 플라스마 덩어리다. 태양의 중심에서는 끊임없이 수소에 의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6곳인데 1980년에 설립된 테네시대의 시체농장이 가장 오래됐고, 나머지는 모두 지난 10년 사이에 세워졌다. 미국에서 ‘시체농장’이라고 하면 대개 테네시대의 시체농장을 말한다. 역사가 오래된 만큼 소설이나 드라마, 방송에도 가장 많이 소개됐기 때문이다. 법의인류학자로서 박사과정을 보낸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유지하기 위해 배신보다는 협력을 하는 것이 유리하도록 발전해 왔습니다. 인간은 그 사이에서 덜 아프면서도 더 많은 이득을 취할 수 있는 배신의 기술을 끊임없이 연마하고 있습니다.협력과 배신, 이 아슬아슬한 줄다리기는 아마 인류가 살아있는 한 계속될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 ...
- [Career] 산소로 정화한 물, 마셔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어김없이 사진으로 남았다. 그들을 실제로 만나보자 이해가 갔다. 격의 없는 스승과 제자 사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늘어나는 오염문제 해결할 고도산화공정이 교수의 연구주제는 물이다.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수처리가 전공이다. 수처리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 교수는 ... ...
이전2802812822832842852862872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