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암흑물질, 사람 세포만큼 무겁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배열(Keck Array) 망원경에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암흑물질의 질량이 1013GeV/c2에서 1015GeV/c2
사이
일 것으로 추정했다. 최소 윔프보다 1000억 배 무겁고, 최대 인간 세포 하나의 질량(1나노그램)과 맞먹는다. 연구팀은 질량이 큰 대신 입자의 상호작용이 훨씬 약할 것으로 내다봤다.산도라 연구원은 미국의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국내 최대 과학분야 웹
사이
트 중 하나인 ‘브릭(BRIC)’이 5월로 서비스 개시 20주년을 맞았다. 브릭은 2005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줄기세포 논문조작사건 당시 생 ... 있고 진지한 토론을 펼치고 싶은 욕구가 과학자들에게 있는 거죠. 우리나라에도 그런
사이
트가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물질로 스캐폴드를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을 사용하면 세포와 기질
사이
의 상호작용을 실제와 유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김현수: 그러려면 스캐폴드의 모양도 실제 장기들과 비슷하게 만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황석연: 그래서 보통 3D 프린터를 많이 씁니다. 최근에는 종이를 ... ...
[과학뉴스] 친구가 웃으면 나도 씨익~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있는 친구가 웃고 있으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에 함께 따라 웃게 돼요. 왜 그럴까요? 최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파울라 니덴탈 교수팀은 상대방의 표정을 따라하는 것은 상대방의 감정에 동감하기 위함이라고 밝혔어요.사람은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의 표정을 통해 감정을 읽고, 앞으로 이 사람이 할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뜬 상태’를 말한답니다.광년은 빛이 진공 속에서 1년 동안 움직인 거리를 말해요. 천체
사이
의 거리를 잴 때 사용하는 단위지요.광년의 ‘광(光)’은 빛을 뜻해요. ‘불 화(火)’와 ‘사람 인(人)’을 더해 사람이 횃불을 비추고 있는 모습을 나타냈지요. 그래서 ‘태양’이나 ‘빛나다’, ‘빛을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프라이가 만든 방정식 덕분에 수학자들은 타니야마-시무라 추론과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사이
에 어떤 관계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1993년 앤드루 와일스는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을 증명해냈다. 즉,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것이다. 그는 강연을 통해 이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 ...
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년 전 지금의 이라크 지역. 두 개의 큰 강
사이
에 비옥한 토지에서 살던 사람들이 있었다. 비옥한 토지 덕분에 일찍이 농사를 짓기 시작한 이 사람들은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보며 달력을 만들었다. 이때 사용하던 숫자는 지금과는 조금 다르지만 정교하고 체계적이었다. 모든 기록은 흙으로 만든 ...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많이 풀린 건 사실이에요. 특히 오랫동안 안 풀리던 미해결 난제들이 최근 몇십 년
사이
에 많이 풀렸지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 푸앵카레의 추측이 풀렸고, 쌍둥이 소수 가설 해결에 실마리를 제공한 위탕 장의 연구나 알파고 같은 인공지능의 등장은 굉장히 놀라워요.이런 면에서 볼 때 수학이 ... ...
[재미] 마왕의 탑 5화_오일러의 한붓그리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충돌하더니 단은 순식간에 출구로 빨려 들어갔다.일곱 개의 다리가 있는 도시눈 깜빡할
사이
에 단은 다른 곳으로 이동해 있었다. 주위를 둘러보니 한적하고 평화로운 도시였다. 도시 곳곳에 흐르고 있는 강은 두 섬을 둘러싸고 있었다. 섬과 육지는 다리로 모두 이어져 있었다. 순간 마왕의 함정에서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나무의 높이를 예상해 보면 됩니다. 나무의 높이가 내 키의 3배 정도 된다면 나와 나무
사이
의 거리를 1:3으로 나누는 지점에 거울을 놓아 보세요. 그러면 아주 약간만 움직여도 거울 속에서 나무 꼭대기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문제도 닮음의 성질을 이용하니 해결됐네요!이제 다시 일어나 올레를 따라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