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미국"(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나무가 죽어 간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60131
- 소나무재선충은 어떻게 우리나라까지 온 거죠? 일단 걸리면 죽기 때문에‘소나무 에이즈’라고도 부르는 소나무재선충병의 근원지는 미국과 캐나다라고 추정됩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소나무재선충의 피해를 겪어온 그 곳의 소나무들은 자체적으로 병을 이겨 낼 수 있는 내성을 갖게 되었지요. 그러나 물류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소나무재선충병은 전 세계로 급속히 퍼 ...
- 북극과 남극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2)어린이과학동아 l20051229
- 남극을 놓고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칠레, 아르헨티나, 영국, 노르웨이, 프랑스가 자기 땅이라고 우겼다. 이들의 싸움을 지켜보던 미국과 러시아는 남극에서의 연구와 활동을 위해 국제적 협약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1959년 12월 1일 남극조약을 만들었다. 이 조약에 의해 남극은 평화적 목적으로만 이용될 수 있고, 남극 대륙의 동식물 및 환경은 ...
- 과학의 역사와 함께한 개들어린이과학동아 l20051229
- 기념비에 가면 볼 수 있어. 북극점과 남극점을 처음 정복한 것도 개! 1909년 4월 6일. 133마리의 우리 조상들이 끌었던 썰매를 타고 미국인 피어리를 비롯한 24명의 대원들이 북극점을 처음 밟았지. 그로부터 2년후인 1911년 아문센이 이끄는 노르웨이 탐험대가 남극점을 밟았을 때에도 역시 우리가 있었어. 55일 동안 썰매를 끌었던 우리 조 ...
- 해리포터와 불의 잔어린이과학동아 l20051213
- 겨울 드디어 해리포터 시리즈의 네 번째 영화‘해리포터와 불의 잔’이 개봉했습니다. 영국의 BBC에 의하면‘해리포터와 불의 잔’은 미국항공우주국의 전송시스템을 통해 지구에서 354㎞ 떨어진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상영되어 화제를 불러 모았어요. 국제우주정거장에 머물고 있던 승무원들도 해리포터 시리즈가 무척 보고 싶었나 봐요. 과연 네 번째 해리포터 시 ...
- 잠(4)-겨울잠에서 배우는 우주여행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051130
- 있어요. 불치병에 걸린 사람을 냉동인간으로 만들어 미래에 의학이 발전돼 치료가 가능하게 될 때 깨어나도록 한다는 것이죠. 이미 미국의 알코어라는 회사는 100여명의 사람들을 냉동보존해 주고 있기도 해요. 하지만 아직까지 냉동인간을 다시 깨우는 방법은 개발되지 않았지요. 사람을 냉동시킬 때 파괴된 세포를 고칠 수 있는 나노기술이 개발되어야 깨어날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3)어린이과학동아 l20051111
- 차고 건조한 기후에서 잘 자라던 목화 재배는 그만두고 밭벼를 심는 방법으로 기후에 적응했어요. 또 사료로 만들던 멸치가 덜 잡히자 미국은 재빨리 콩을 많이 심어 사료의 원료로 사용했지요. 이상기후가 나타났다하면 모두 엘니뇨의 탓이라고요? 고대 페루인들은 엘니뇨가 신의 노여움이라 여기고 제물을 바쳤다고 전해집니다. 그러므로 엘니뇨는 어느 날 갑자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4)어린이과학동아 l20051111
- 낮춰야 한다. 규제 대상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를 비롯하여 메탄, 아산화질소 등 여섯가지다. 그러나 2001년 이산화탄소 배출량 1위인 미국이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교토의정서에서 탈퇴하면서 국제적인 비난을 받기도 했다. 우리나라는 개발도상국에 속하기 때문에 당장은 온실가스를 줄일 의무를지지 않지만, 화석연료 대신 태양열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2)어린이과학동아 l20051111
- 따라 피해의 정도는 달라집니다. 따라서 지진의 세기를 세계 어디에서나 공통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기준이 필요했어요. 1936년 미국의 지질학자 리히터 박사는 지진계에 기록된 진폭을 진원의 깊이나 진앙까지의 거리를 생각하여 숫자로 표시했는데, 이것이 바로 리히터 규모예요. 그러나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와 닿는 것은 진도라는 단위입니다. 진도란 어떤 ...
- 1889년 11월 20일 우주팽창설을 주장한 에드윈 허블 출생!어린이과학동아 l20051111
-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은 1992년 미국항공우주국에서 우주로 쏘아 올린 망원경(허블우주망원경)의 이름으로도 유명합니다. 허블은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뒤늦게 천문학을 공부하여‘허블의 법칙’을 발견하여 우주가 끝없이 팽창하다고 있다는 우주팽창설을 주장한 유명한 천문학자가 되었답니다. 허블의 법칙은 지구로부터 ...
- 공룡에 관한 여덟가지 미스터리(3)어린이과학동아 l20051031
- 발전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제 조금 더 올라와 볼까요? 공주의 계룡산 입구에는 계룡산자연사박물관이 있답니다. 이 곳에서는 미국 와이오밍주 모리슨 지층에서 발굴하여 원형이 85% 이상 보존된 길이 25m, 높이 16m, 몸무게 80톤의 브라키오사우루스의 화석을 볼 수 있지요. 중앙홀에 전시된 것은 모형이며, 브라키오사우루스의 실제 뼈 화석 일부도 ...
이전2722732742752762772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