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6,25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01
사라지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 결국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소자든 분자를 포함한 어느
물질
이든 1.5nm의 물리적 한계는 피할 수 없다.몸은 죽어도 의식은 영원히 남는 세상선폭의 한계와 더불어 생기는 문제는 0과 1로 처리되는 디지털 처리방식의 한계다. 전문가들은 전자를 뛰어넘을 새로운 ... ...
변신의 귀재 탄소
과학동아
l
200701
정해져 있다. 탄소 구슬은 막대기를 4개까지 붙일 수 있어 탄소 구슬만 갖고 만들 수 있는
물질
의 수가 다른 구슬에 비해 많다.변화무쌍한 결합방법 때문에 탄소는 생명체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원소가 됐다. 생명체의 몸은 주로 탄소, 질소, 산소, 수소 원소들로 이뤄져 있는데, 이 중 탄소는 단백질과 ... ...
산소요정의 왕자님 살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1
전달되면 폐기종이나 폐암의 원인이 된다. 흡연을 하면 밝은 분홍이던 허파에 오염
물질
이 쌓여 까맣게 변한다. 살아있는 실험실아기가 갓 태어나면 의사선생님이 엉덩이부터 살짝 때린다. 아기는‘응애응애~’울면서 세상에서 첫 숨을 쉬기 시작한다. 그 때부터 한 번도 안 멈추고 잘 때도 뛸 때도 ... ...
문어 피부에 숨은 '3D 세포'
과학동아
l
200701
미국 매사추세츠 해양생물연구소의 로저 한론 교수팀이 문어의 보호색을 만드는
물질
을 밝혀냈다고 지난 12월 8일자 ‘네이처’ 온라인 뉴스에 보도했다.연구팀은 문어의 피부를 아주 가까이에서 촬영한 결과 피부 가장 아래쪽에서 색이 없고 반투명한 단백질을 발견했다. 한론 교수는 “이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01
가진 것과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버리는 약한 방사능을 가진 것 등이 있으며 방사성
물질
의 반감기가 긴 것과 짧은 것 등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일률적으로 다룰 수 없다여러 가지 입자의 방사성포획은 원자핵의 구조를 조사하는 유력한 수단의 하나지만 중성자포획은 응용상으로도 매우 ... ...
마빡이는 엄살?
과학동아
l
200701
때 만들어지는 인산이 근육을 산성화시켜 피로도를 높인다”고 설명했다.젖산이 피로
물질
이 아니라는 증거는 여러 가지다. 운동을 하지 않고 과일만 먹어도 젖산 농도가 상승한다. 과일 속에 들어있는 과당을 30g 섭취하면 평소 1mmol/L였던 혈중 젖산 농도가 2mmol/L까지 올라간다. 또 운동을 하지 ...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01
세포나 조직을 보는 일은 불가능했다. 하지만 X선현미경은 암세포나 단백질 같은 생체
물질
을 고배율로 확대해볼 수 있다. 남 교수는 “생명체에 X선을 쪼이고 홀로그램 기술까지 더해지면 생체세포의 3차원의 영상을 얻는 일도 가능하다”고 말했다.머지않아 펨토초 레이저 기술은 병원에서도 ... ...
침이 고통을 덜어준다
과학동아
l
200701
버금가는 통증완화 효과가 나타났다. 또 핀을 거꾸로 박은 판 위에 쥐를 올려놓고 두
물질
을 각각 주사했을 때는 체중 1kg당 1mg의 오피오르핀이 6mg의 모르핀과 같은 통증완화 효과를 나타냈다.통증은 신경세포를 통해 뇌로 전달된다. 엔케팔린은 통증 수용체와 미리 결합해 통증이 전달되는 길목을 ... ...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701
값만큼 어마어마하게 컸다면 인류가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다. 진공에너지의 반발력이
물질
이 뭉치는 중력보다 강해 은하, 별, 행성이 형성되는 걸 방해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 진공에너지는 반발력이 그리 크지 않아 매우 큰 우주적 규모에서만 작용한다. 우리 우주는 바로 당신이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01
되지 않는 인간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했지만 각각의 기능과 네트워크, 복잡미묘한 화학
물질
의 상호작용까지 이해하려면 아직도 갈 길이 멀다.2030년에도 줄기세포치료는 여전히 난제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생명의 발생과 분화과정에서 꾸준히 단서를 찾아가다보면 언젠가 줄기세포를 다루는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