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교수의 ‘엽기’ 주장이 현실로 나타날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기생충은 현대 의학에서
꼭
나쁘거나 귀찮기만 한 존재는 아니다. 기생충을 이용해 병을 치료하거나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연구가 활발하기 때문이다.기생충을 이용해 병을 치료하는 연구로는 단연 알레르기가 꼽힌다. 세계 여러 곳에서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크기다. 그런데 1.8인치, 1인치 그리고 최근 0.85인치까지 개발되면서 HDD는 디지털 기기에
꼭
맞는 크기가 됐다. 1.8인치 HDD가 탑재된 애플의 MP3플레이어 ‘아이팟’은 2001년 5GB에서 2004년 40GB로 평균 1년에 2배씩 용량을 늘렸다. 숫자전쟁 승리 비법2002년 46인치(삼성전자), 2003년 55인치(LG필립스), ...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모든 존재자가 비어 있다고 합니다. 있음과 없음이 서로 넘나드는 것이 물리학과 불교가
꼭
닮았죠.”양 교수는 이처럼 불교와 물리학을 넘나드는 독특한 글을 한 중앙 일간지에 2년 동안 연재해 화제를 낳았다. 그 글들을 모아 책으로 펴낸 것이 이번에 나온 ‘과학으로 세상보기’다.“어렸을 때는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해오지 않았다고 심한 체벌을 가하거나 폭언을 했다고 가정해보자. 아이는 숙제는
꼭
해야 한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체벌이나 폭언도 함께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실험동물을 이용해 해마와 편도체를 중심으로 공포조건화 연구를 진행해왔다.쥐의 뇌를 이용한 단순한 학습모델은 뇌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외지 않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곤 한다. 운율상 구구단 외우기가 불편한 데다 구구단을
꼭
외워야 하는 것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심지어 고교 수학 시간에 계산기가 버젓이 등장한다. 그러나 수학을 비롯해 첨단 과학을 이끌어 가는 나라는 바로 그들이다. 수학을 통해 계산력보다 창의성과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더 이상 얼음 폭풍에 착빙될 염려가 없어진다. 더 강력한 엔진을 달아 이번에는
꼭
남극점에 반디의 흔적을 남기리라. 나는 준비할 것이 특별히 없다. 자신감은 이미 충만하다. 15세에 조종사 자격증을 딴 후 하늘에서 8000시간을 머문 지도 오래 됐다. 남극에서 어떤 어려움이 닥칠지는 지난번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전에 영어를 배우면 나이 들어서 배우는 것보다 쉽다. 그럼 영어를 잘 하려면 조기교육이
꼭
필요한 걸까. 이에 대해 서울대 의대 신경과 이경민 교수는 “발음에 한해서는 조기교육이 효과가 있다”고 말한다.발음은 언어의 음운체계와 관련이 있다. 뇌에 음운체계가 형성되는 것은 생후 6개월부터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최대 1~2km 떨어져있는 물체까지도 식별해낸다. 롭해즈가 야간정찰임무를 수행하려면
꼭
필요한 장비인 셈이다.그동안 수차례 시험 운용을 통해 롭해즈는 안정을 찾아갔다. 막사 주변과 자갈길을 지나면서도 큰 문제점을 드러내지 않았다. 서울로부터 공수된 새 배터리 덕분에 배터리 충전시간도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지요.”사소한 일이라도 좋아하는 일을 성실하게 하면 뭔가는
꼭
이루어진다고 말이죠. 친구들도 현재 좋아하는 일들이 있죠? 교수님의 말처럼 좋은 책을 많이 읽고, 재미있는 일을 많이 하면서 자신이 정말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무언가를 열심히 하는 친구들이 되었으면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자기 것으로 여긴다”고 ‘근엄한 박사’가 만화를 그리는 이유를 밝혔다.“소행성은 왜
꼭
뉴욕 앞바다에 떨어집니까. 동해에 떨어지면 안됩니까. 우리 고장 꽃은 있는데 왜 우리 고장 별은 없습니까. 우주를 우리 것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저는 한국인의 잠재력을 믿습니다. 우주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