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물리학과의 베버 교수가 아가우 칸톤 고등학교 특례입학을 주선하고, 다음해에
꼭
다시 시험 치라고 당부했을까.아라우에서 내가 연방공대 입학시험을 위해 공부했던 책 중에는 프랑스 물리학자 비오레가 1882년에 쓴 역학 교과서의 독일어 번역본이 있었다. 프랑스의 영향이 강한 스위스에 있었기에 ... ...
3. 3·5·6월 3연타석 홈런치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주장하면서 작은 당구공 모양 같은 원자가 머릿속에 상상하는 것처럼 실제로 거기에
꼭
존재한다고 믿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기체의 운동 이론을 포함해 통계역학의 체계를 완성한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볼츠만은 자살로 생을 마감했는데, 이는 당시 그의 통계역학이 최소 단위인 원자의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씹는 맛이 쫄깃쫄깃하다”고 설명했다.닭 가슴살이 하얀 이유‘꿩 대신 닭.’용도에
꼭
맞는 것이 없을 때 아쉬운 대로 비슷한 대상으로 대신할 경우 쓰는 속담이다. 명품 핸드백 대신 쓰이는 짜가가 대표적인 꿩 대신 닭이다. 아무튼 닭의 입장에서는 불쾌한 비유다. 그렇다면 이 말의 유래는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강 건너편 다리가 연결될 지점에 정확히 공사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긴 다리일수록 GPS는
꼭
필요하다.GPS속에 들어 있는 아인슈타인을 찾아보자. GPS 정보는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24개의 GPS위성이 알려준다. 이 위성은 가장 정확하다는 원자시계를 갖고 있는데 위치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이 ... ...
썰렁 홈즈 마술사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2호
100원짜리 동전 한 개와 50원짜리 동전 한개. 다음은 두 동전을 각각 한 손에 한 개씩
꼭
쥐어 보세요. 물론 이 썰렁 홈즈가 알 수 없도록 잘 감춰야 하겠지요? 각각의 손안에 동전이 잘 들어 있나요?그럼 지금부터 간단한 계산을 해 보겠습니다. 오른손에 든 동전 곱하기 7을 하세요. 그리고 왼손에든 ... ...
조직의 우두머리 조달호 vs새로운 세력 곰바우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1호
그래서 우리나라로 오면서 교장선생님이 조달호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지요.
꼭
조직의 보스 이름 같지요? 하지만 그 이름이 그리 싫지만은 않은지 조달호 역시 그 이름으로 잘 따르더라고요.그 후로 원숭이 학생들이 늘어나면서 조달호는 우두머리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답니다. 공격적인 ... ...
"나는 하얀 침팬지" - 제인구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1호
오는 11월 8일, 우리나라에도 강연을 위해 방문할 예정인 박사님이 어린이들에게
꼭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답니다.“사라져 가는 동물들을 위해 뿌리와 새싹이 되어 주세요. 여러분들은 인간과 동물이 더불어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 희망이니까요. ... ...
별박사 이태형 별따기 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그리고 물질이 많이 모이면 모일수록 그 중심의 온도는 높아지지요. 이것은 옆 사람과
꼭
껴안으면 따뜻해지는 것과 같은 원리랍니다.마찬가지로 중력으로 인해 물질들이 뭉치게 되면 그 중심의 온도는 계속 올라가게 되지요. 그리고 온도가 점점 올라가 1천만 도가 되는 순간에드디어 수소가 타기 ... ...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 최재천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1960년대 초반, 눈부시게 햇살이 따가운 여름날이었어요. 강원도 강릉의 한 시골 개울가 어귀에 소를 묶어놓고는 개울 속의 가시고 ... 그 친구가 좋아지는 것처럼 자연을 알면 자연을 사랑하게 된다.”교수님이 친구들에게
꼭
해주고 싶은 이야기랍니다 ... ...
미적분으로 인격을 닦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렇게 어려운 문제는 처음”이라며 놀랐다고 한다.“선행학습에 잘 적응한다면
꼭
나쁜 것은 아닙니다. 수준에 맞는 학습으로 볼 수 있죠. 그러나 자신에게 맞지 않고 너무 어렵다면 선행학습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스스로 재미를 느끼는 공부가 가장 좋습니다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